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2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 발표
취업자 38만 9668명, 취업 대상자 70.3%…전문대 72.4%, 일반대 64.6%, 대학원 82.4%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지난해 대학교·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평균 70.3%를 기록했다. 계열별 취업률은 의약계열 취업률이 가장 높았고, 인문계열이 가장 낮았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고등교육기관의 2022년 8월·2023년 2월 졸업자 64만 6062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취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로 한국방송통신대, 사이버대, 원격대 등도 대상에 처음으로 포함됐다. 기존 조사는 일반대학과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 졸업생만이 대상이었다.
조사 결과, 전체 졸업생 가운데 취업자는 38만 9668명으로 취업 대상자(55만 4281명)의 70.3%로 나타났다. 전년 조사(69.6%) 대비 0.7%p 증가한 수치다.
유형별 취업률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88.5%, 프리랜서 7.4%, 1인 창(사)업자2.9%, 해외취업자0.6%, 개인창작활동종사자 0.5% 순으로 나타났다. 1인창(사)업자 및 프리랜서, 해외취업자 비율은 전년 대비 각각 1.0%p, 0.2%p, 0.1%p 증가한 반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및 개인창작활동종사자, 농림어업종사자는 전년 대비 각각 1.1%p, 0.2%p, 0.1%p 감소했다.
학교유형별로는 대학원 82.4%, 전문대학 72.4%, 일반대학 64.6%, 교육대학 59.5% 순이다. 일반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은 전년 대비 각각 1.7%p, 1.5%p, 0.5%p 감소했다.
계열별로는 의약계열이 가장 평균 취업률이 높았다. 의약계열 평균 취업률은 82.1%였으며, 그 뒤로 공학계열(71.9%), 교육계열(69.5%), 사회계열(69.4%), 예체능계열(67.2%), 자연계열(66.5%), 인문계열(61.5%) 순이다.
성별 취업률은 남자 72.4%, 여자 68.5%로 성별 간 3.9%p 차이를 보였다. 전년 대비 취업률은 모든 성별에서 증가했고, 성별 간 차이는 전년(3.0%p) 대비 0.9%p 증가했다.
수도권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72.2%, 비수도권 소재 학교 취업률은 68.5%로 지역 간 3.7%p의 차이를 보여 전년(2.7%p) 대비 격차가 1.0%p 증가했다. 17개 시도 중에서 서울, 인천, 울산, 전남 등 7개 시도는 평균 취업률보다 취업률이 높았고,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큰 시도는 제주(3.2%p, 2023년 70.9%)로 나타났다.
2023년 2월 졸업자 유지취업률은 80.9%로 전년(80.5%, 2022.12.31.기준) 대비 0.4%p 증가했다. 다만 일반대학 78.9%, 교육대학 93.2%, 전문대학 75.1%로, 졸업자의 유지취업률은 전년 대비 각각 2.1%p, 1.1%p, 0.8%p 감소했으며, 기타 학교 유형과 대학원 졸업자의 유지취업률은 각각 84.6%, 90.7%로 전체 유지취업률(80.9%)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계열(85.4%), 공학계열(85.4%), 사회계열(82.0%)의 졸업자 유지취업률은 평균 유지취업률(80.9%)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예체능계열(66.8%), 자연계열(78.1%), 의약계열(78.8%), 인문계열(79.0%)의 졸업자 유지취업률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 소재 학교 졸업자 유지취업률은 82.3%, 비수도권은 79.6%로 지역 간 2.7%p의 차이를 보였으며, 전년도 보다 1.2%p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자 83.5%, 여자 78.4%로 성별 간 유지취업률이 5.1%p의 차이를 보였다. 전년 대비 0.4%p 감소한 수치다.
전문대 졸업자 월 평균소득은 257만 7000원으로 전년(248만 5000원) 대비 9만 2000원 증가했고, 대학 졸업자는 309만 1000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7%, 8.6% 상승했다. 대학원 졸업자는 509만 6000원으로 나타났다.
취업 준비기간은 졸업 전(입학 전 포함) 취업자(44.3%), 졸업 후 3개월 이내 취업자(21.4%), 6~9개월 이내 취업자(13.1%), 3~6개월 이내취업자(12.9%), 졸업 후 9개월 이후 취업자(8.2%) 순으로 조사됐다. 취업 준비기간이 3개월 미만(21.4%), 3~6개월 미만(12.9%)인 취업자 비중은 전년(25.3%, 15.5%) 대비 각각 3.9%p, 2.6%p 감소했다.
졸업자 중 진학자는 4만 2686명으로 진학률은 6.6%로 전년(6.6%)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2023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는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누리집 및 국가통계포털에 탑재해 국민들이 손쉽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는 취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대학생과 청년들이 변화하는 미래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다양한 행정 데이터와 연계하고 정책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해 데이터 기반 인재 정책 수립에 지속적으로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송영선 통계청 통계데이터허브국장은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는 대학 졸업자 정보와 일자리 행정자료를 연계해 대학 졸업 후 청년들이 경험하는 일자리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통계”라며 “앞으로 일자리 이동 통계가 청년들의 고용 안정을 지원하고, 미래 일자리 정책을 수립하는 데 든든한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