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의 첨단분야 참여 실태와 정주 여건 분석’ 발표
직능연 “외국인 고급 인력 전략적 유치 위해 경력 단계별 차별화된 지원 정책 필요”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 이하 직능연)은 31일『KRIVET Issue Brief 295호(국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의 첨단분야 참여 실태와 정주 여건 분석)』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들이 한국에 취업한 주요 이유는 주거와 경력개발 때문으로 분석됐다.
직능연은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취업한 이유를 생활 측면과 직장 측면으로 나눠 물어봤다. 생활 측면에서 한국에 취업한 이유로는 ‘주거 환경’이 20.2%로 가장 높았고, ‘급여 수준’(16.8%)과 ‘경력 개발’(11.2%)이 뒤를 이었다. 직장 측면에서 한국에 취업한 이유로는 ‘경력개발’이 30.2%로 가장 높았고, ‘연구 인프라’(18.4%)와 ‘전공지식 활용’(18.0%)이 뒤를 이었다.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계획 중인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534명)을 대상으로 생활 측면과 직장 측면으로 나눠 이유를 물어봤다. 생활 측면에서는 ‘급여 수준’이 37.8%로 가장 높았고, ‘주거 환경’(17.4%)과 ‘경력 개발’(15.0%)이 뒤를 이었다. 직장 측면에서는 ‘급여 수준’이 34.1%로 가장 높았고, ‘경력개발’(27.2%)과 ‘연구 인프라’(17.6%)가 뒤를 이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송승원·장광남 직능연 부연구위원은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와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의 국내 취업 선호요인이 다르다”며 “외국인 고급 인력의 전략적 유치를 위해 초기 유입 단계에서는 경제적 처우를, 정착 단계에서는 생활 인프라를 강화하는 등 경력 단계별로 차별화된 지원 정책이 설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에 대한 주기적 실태조사를 통해 유치-양성-활용-정착 단계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한 정책 발굴 및 맞춤형 지원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과학기술인 교육플랫폼 DB 내 국내 외국인 고급 인력 1500명(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500명 및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1000명)을 대상으로 직능연과 KIRD가 공동 조사를 실시한 후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