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정주 및 해외유학생 유치·정주 활성화를 위한 각 기관의 역할 도출

제주관광대 RISE 포럼에 참석자들의 단체사진.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제주관광대학교(총장 김성규)는 10일 메종글래드 제주호텔에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가 추진되는 2025년을 맞아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도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RISE의 성과 확산을 위한 제주도 및 유관기관, 산업체의 의견 교류와 RISE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학의 RISE 사업 성공 진입과 ‘지역 정주 활성화’ 기여 및 역할 발굴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포럼에는 제주특별자치도 오영훈 도지사, 양제윤 혁신산업국장, 박재완 제주 출입국·외국인 청장, 양덕순 제주연구원장, 이남호 제주산학융합원장, 이병선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제주관광대 김성규 총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제주관광대 김성규 총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김성규 제주관광대 총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대학이 지역 정주형 일자리 창출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산업체와 지자체가 협업해 제주 라이즈 체계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영훈 지사는 축사에서 “제주를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 도시로 조성하고, 전국·해외의 우수 인재들이 제주에서 학습하고 창업하며,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라면서 “제주도정 역시 대학과 산업이 협력하는 제주형 RISE 모델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오영훈 지사가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이번 포럼에서는 제주도 RISE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전략을 중심으로 세 가지 주요 발표를 진행했다.

첫 번째 발표는 김가영 경상국립대 교수가 맡아, 대학이 지역 창업 활성화의 핵심이라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위해 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는 양일석 제주스타트업협회장의 ‘제주스타트업의 현황과 창업가의 역량’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다.

이어 지역 정주 해외유학생 유치 활성화 방안으로 경복대 안정근 교수가 ‘정주형 외국인 유학생 유치의 트렌드 및 추진전략’ 발표를 했다.

그리고 전북국제협력진흥원 송기택 실장의 ‘전북지역 유학생 유치 및 국제협력 사례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지역 정주를 위한 제안’이라는 발표가 이어졌다.

제주도 RISE의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포럼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제주도 RISE의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포럼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주제 발표 후 이어진 패널 종합 토론에서는 지역의 정주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의 의견 교류의 장이 마련됐다. 토론은 제주대 박성수 교수의 사회로 다양한 전문가들이 각자의 관점에서 의견을 공유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제주관광대가 추진한 지산학연 간 협력 성과와 제주도 RISE 체계의 연계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제주관광대 관계자는 “패널 토론을 통해 제안된 혁신 사례와 정책적 아이디어는 지역 경제와 지역 정주 활성화를 강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