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정주 및 해외유학생 유치·정주 활성화를 위한 각 기관의 역할 도출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제주관광대학교(총장 김성규)는 10일 메종글래드 제주호텔에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가 추진되는 2025년을 맞아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도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RISE의 성과 확산을 위한 제주도 및 유관기관, 산업체의 의견 교류와 RISE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학의 RISE 사업 성공 진입과 ‘지역 정주 활성화’ 기여 및 역할 발굴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포럼에는 제주특별자치도 오영훈 도지사, 양제윤 혁신산업국장, 박재완 제주 출입국·외국인 청장, 양덕순 제주연구원장, 이남호 제주산학융합원장, 이병선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성규 제주관광대 총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대학이 지역 정주형 일자리 창출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산업체와 지자체가 협업해 제주 라이즈 체계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영훈 지사는 축사에서 “제주를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 도시로 조성하고, 전국·해외의 우수 인재들이 제주에서 학습하고 창업하며,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라면서 “제주도정 역시 대학과 산업이 협력하는 제주형 RISE 모델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제주도 RISE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전략을 중심으로 세 가지 주요 발표를 진행했다.
첫 번째 발표는 김가영 경상국립대 교수가 맡아, 대학이 지역 창업 활성화의 핵심이라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위해 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는 양일석 제주스타트업협회장의 ‘제주스타트업의 현황과 창업가의 역량’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다.
이어 지역 정주 해외유학생 유치 활성화 방안으로 경복대 안정근 교수가 ‘정주형 외국인 유학생 유치의 트렌드 및 추진전략’ 발표를 했다.
그리고 전북국제협력진흥원 송기택 실장의 ‘전북지역 유학생 유치 및 국제협력 사례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지역 정주를 위한 제안’이라는 발표가 이어졌다.
주제 발표 후 이어진 패널 종합 토론에서는 지역의 정주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의 의견 교류의 장이 마련됐다. 토론은 제주대 박성수 교수의 사회로 다양한 전문가들이 각자의 관점에서 의견을 공유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제주관광대가 추진한 지산학연 간 협력 성과와 제주도 RISE 체계의 연계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제주관광대 관계자는 “패널 토론을 통해 제안된 혁신 사례와 정책적 아이디어는 지역 경제와 지역 정주 활성화를 강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