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능연,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국내 박사 인재 현황 분석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 장학금 비중·연구프로젝트 참여↓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 한국 거주 계획, 타 전공 박사보다↑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국내 박사는 한국에서의 거주를 강하게 원하지만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하 직능연)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KRIVET Issue Brief 298호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국내 박사 양성 및 노동시장 이행 분석)’ 보고서를 지난 1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의 장학금 비중은 줄고, 내국인 박사에 비해 연구프로젝트 참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의 학비에서 장학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7년 83.1%에서 2023년 71.2%로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자부담(본인부담 혹은 가족지원) 비율은 13.2%에서 2023년 24.4%로 증가했다. 이공·의약계열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의 연구프로젝트 참여 경험은 최근 7년 평균 76.0%(2.72개)로 동일 계열 학업전념 내국인 박사 93.9%(5.72개)보다 낮았다.
이공·의약계열 전공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 초기 노동시장 이행 성과가 내국인 박사에 비해 낮으며, 대부분 박사후연구원으로 취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공·의약계열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의 취업률은 48.9%로 내국인 박사 58.3%에 비해 낮았다.
국내에 취업한 이공·의약계열 학업전념 외국인 박사의 연 근로소득이 낮은 점도 주목할 만하다. 5000만 원 이상 연봉을 받는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 비율은 7.8%로 내국인 박사 42.7%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는 타 전공 박사에 비해 한국 거주를 더 원하는 편이지만, 국내 취업의 대부분은 박사후연구원(Post-doc)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의 한국 거주 계획 비율은 45.7%로 타 전공 박사 14.8%에 비해 매우 높았다.
국내에 취업한 이공·의약계열 전공 외국인 박사 중 73.1%는 박사후연구원으로 내국인 박사 비율 43.7%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장광남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학업전념 박사의 비율이 높은 외국인 박사과정생의 학비 자부담 비율 상승은 학업과 동시에 학비 마련에도 신경써야 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공·의약계열 외국인 박사의 대부분이 박사후연구원으로 취업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다. 외국인 고급 인재의 국내 정착을 위해 외국인 박사후연구원의 처우 개선과 경력경로 개발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분석은 2017년~2023년 국내 대학에서 자연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 등에서 박사학위를 신규 취득하고 조사에 응답한 박사 4만 2408명(내국인 3만 7338명, 외국인 5만 70명)을 대상으로 했다. 또 노동시장 이행은 학업전념 박사 2만 6339명(내국인 2만 1734명, 외국인 4605명)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