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현 부산교대 교수 ‘교육·사회 분야 데이터 기반 실증연구 의제 도출’ 발제
학생 성취도 포함한 데이터 활용해 교육 관련 사회적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연구 필요
“교육·건강·소득 분야 연계 연구 진행, 교육 사회 분야 큰 진척 이룰 것”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교육-사회 연계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인 단위의 한국교육개발원(KEDI) 고등교육기관 취업통계데이터와 같은 교육-사회 행정 데이터 연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행정 데이터는 개인 단위로 수집되는 고유한 정보로, 교육·건강·고용 등의 분야에서 분석에 중요한 역할해 정책 연구, 사회 문제 해결에 필수적이라는 이유다.
다만 행정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활용 시 개인 식별 정보 보호가 필요하고, 연구나 정책 분석의 과정에서 중요한 윤리적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광현 부산교대 교수는 19일 진행된 ‘사회정책 협력지원센터 성과 포럼’에서 ‘교육·사회 분야 데이터 기반 실증연구 의제 도출’ 발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에 따르면 최근 행정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미국, 북유럽 등 해외에서는 교육 데이터, 건강 데이터, 사회 경제적 지표 등을 연계해 학생의 학업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 정책을 설계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교수는 “해당 연구들은 학생 맞춤형 학습 경로 제공, 교육 자원 최적화, 교육의 효과성 평가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며 “해외에서는 데이터 연계를 통해 교육 격차 해소와 교육 성과 향상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도 교육과 사회적 이슈의 실증 분석을 통한 과학적 정책 수립을 위한 전국 단위의 행정 데이터 사용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행정 데이터를 연계해 교육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정책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여타 사회분야 데이터와 연계 사례는 드물게 존재하며, 교육행정 데이터의 경우 개인 수준이 아닌 초중등학교나 대학 등 기관, 지자체나 시도 등 지역 단위의 자료를 연계해 활용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 교사의 교육 효과성, 학생의 건강과 정신 건강, 취업 지원 프로그램과 교육 수준 간의 관계 등이다.
이에 이 교수는 “교육 분야에서는 학생들의 성취도를 포함한 데이터를 활용해 교육 관련 사회적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요구된다”며 “데이터 기반의 실증 연구가 교육 사회 분야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연구를 통한 데이터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부처와의 협력과 연구 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 교수는 “교육과 건강, 소득 분야를 연계해 연구를 진행하면 교육 사회 분야의 큰 진척을 이룰 수 있다”면서 “다만 행정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므로, 이를 활용할 때 개인 식별 정보 보호가 반드시 필요하고, 연구나 정책 분석의 과정에서 중요한 윤리적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