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즈(RISE) 연계해 ‘지자체-대학-기업’ 협업해 유학생 관리
지원협의체, 유치거점센터 등에서 ‘유치-교육-취업-정주’ 지원
“지역 정착할 수 있는 주거·생활 종합 서비스 체계 필요성 ↑”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개별 대학 혹은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이뤄졌던 유학생 지원 정책들이 지역별 ‘지원협의체’ ‘유학생유치거점센터’ 등에서 통합 관리될 전망이다.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역자치단체들도 지역 대학·산업체와 연계해 유학생 유치에 나서는 모양새다.
고등직업해외인재유치협의회(해인협)가 최근 발간한 ‘고등직업교육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성화 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자체별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동안 ‘유학생 수’ 늘리기에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유학생을 ‘지역 정주형 인력’으로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 정책 변화는 2023년 교육부가 발표한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 스터디 코리아 300K 프로젝트)’과 올해 도입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 등과 맞물려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지자체가 유학생 지원을 위한 관리센터, 협의체 등을 신설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2030년까지 유학생 3만 명 유치를 목표로 ‘유학생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또한 유학생 통합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지역기업의 외국인력 수요에 맞는 유학생을 연계할 방침이다. 대구광역시도 2027년까지 유학생 1만 명 유치를 위해 ‘유학생 유치 연합체’를 구성한다. 본 연합체는 시와 대학, 기업체로 구성돼 운영된다.
충청북도는 충북형 K-유학생 양성을 위해 ‘외국인유학생유치지원본부’를 신설해 유학생들의 유치와 정주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이와 함께 도시 근로자 연계 홍보와 유학생 정착 지원을 위한 ‘K-가디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월 충북도에 따르면 도내 유학생 수가 2023년 4066명에서 2024년 8175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라북도는 교육청도 협력체로 들어가는 ‘JB외국인유학생유치지원협의체’를 구성한다. 본 협의체에는 전북자치도의회, 전북자치도교육청, 대학, 전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의 관계자가 활동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도와 대학, 기업체협의회,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전남해외인재유치협의체’를 구성한다. 경상북도는 ‘K-드림 협업체’에서 도, 대학, 지역기업, 한국교육원 등이 협력한다. 또한 ‘K-드림 외국인지원센터’에서 광역비자, 지역특화형비자 등을 운영·홍보한다. 경상남도는 ‘경남 유학생 유치 글로벌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연구진은 “지자체들이 지역 대학과 협력해 유학생 유치·관리협의체를 구성하고 공동 유학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많은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올해 라이즈가 도입되면서 지자체와 더욱 긴밀한 협력이 요구된다. 전문대학에서는 청년 취업 프로그램과 유학생 지역산업취업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학생 취업·정주 실적 △지역기업 기여도 △지역혁신기관 기여도 △지자체 기여도 △지산학연 공동 기술사업화 실적 △외국인 근로자 교육과정 운영 수 등이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진은 “유학생들이 졸업 후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주거·생활 지원을 제공하는 종합 서비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외국인 유학생 교육을 넘어 취업, 정주까지 연계하는 통합적 관리체계를 갖춰야 한다. 유학생을 지역 산업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로 양성하고 이들이 국내에 정착하도록 관련 정책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