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용인예술과학대서 경기 동남권 6개교 컨소시엄 전문대학 라이즈 실무진 회의 열려
6개 전문대학의 산학협력처(단)장 등 참여…컨소시엄의 선정 확률 높이는 데 방점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경기 동남부 전문대학 6개교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 실무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라이즈(RISE)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 6개교는 경기도 라이즈 사업 과제 중 ‘평생직업교육 거점형(유형3)’에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6일 용인예술과학대 본관 2층 소회의실에서 진행된 회의에서 6개 전문대학 컨소시엄의 선정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단위과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날 회의에는 각 대학의 산학협력(처)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실현 가능성이 높은 단위과제 선정 등에 중점을 둬야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경기 동남부에 위치한 A전문대학 산학협력단장은 “지난번에도 (얘기가) 나왔듯이, 8개 과제가 너무 많다는 언급이 있다”며 “자율과제는 △‘2-4. 개방형 창업클러스터 활성화’ △‘4-3. 외국인 유학생 정주 지원’ △‘4-4. 경기 늘봄학교 혁신 지원’이다. 우선적으로 살려야 되는 과제는 교육부가 원하는 단위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심스럽지만 늘봄학교는 살려야 6개 대학 컨소시엄의 선정 확률이 높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4-3. 외국인 유학생 정주 지원’과 ‘2-4. 개방형 창업클러스터 활성화’ 둘 중 하나를 제외하는 게 어떨까 생각한다”며 “‘4-3. 외국인 유학생 정주 지원’은 4개 대학이 신청했기 때문에, 아무래도 가능성이 좀 더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2-4. 개방형 창업클러스터 활성화’ 과제에 참여 가능 의사를 표했던 경기 동남권 전문대학 컨소시엄 6개교 중 두 곳은 제외해도 된다고 답했다. 경기 동남부에 위치한 B전문대학 산학협력처(단)장은 “사업비를 꼭 따서 해야 되는 사업들이 되려면, 이에 대한 분량을 확보하기 위해선 ‘2-4. 개방형 창업클러스터 활성화’는 선정돼도 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의견을 내놨다.
A전문대학 산학협력단장은 “객관적으로 봤을 때 ‘2-4. 개방형 창업클러스터 활성화’는 우리 대학이 하고 싶은 거지,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과연 증빙이 있는 컨소시엄, 계획을 잘 써낸 대학 중 어디에 가중치를 줄까 생각해 본다면, 당연히 실적 증빙이 있는 대학에 우선적으로 가중치를 주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차라리 그럴 바에는 하나라도 실적이 있는 부분에 주관대학이 아닌 참여대학이라도 해서 선택과 집중을 해 에너지를 쏟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입장이다. 또 6개 대학이 모두 참여를 할 것인지, 2~3개 대학으로만 나눠서 참여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자율과제 제외 총 13억 원으로 예산이 한정돼 있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경기 동남부에 위치한 C전문대학 산학협력처(단)장은 “우리 대학은 실적이 약하다 싶으면 제외했다. 우리 대학은 △‘3-1. 지역산업 수요맞춤 경기 평생교육체제 지원’ △‘3-2. 고교-대학-산업 연계 산학일체 교육 운영’ △‘4-3. 외국인 유학생 정주 지원’만 포함했다. 모두 실적을 바탕으로 선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주관대학의 필요성을 언급한 C전문대학 산학협력처(단)장은 “6개 대학이 6, 7개 과제 등 수행하려 할 때, 아무래도 과제별로 주관대학은 필요할 것 같다. 그래야 보고서를 일관되게 쓰고, 참여 대학들의 실적을 포함하는 데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단위과제·예산의 포함과 제외 여부에 대해 언급한 경기 동남부에 위치한 D전문대학 관계자는 “우리가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단위과제를 넣고, 빼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을 것 같다. 처음에 경기도에서는 라이즈협의회에서 어떠한 부분을 빼고, 어떤 부분은 주는 등 조율한다고 했기 때문에, 단위과제를 포함하거나 없애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듯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예산을 넣고 빼는 것보다 적게 배분한다든지, 중점적으로 진행하는 분야에 예산을 많이 배분하는 식으로 하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시와 MOU를 맺는 것도 증빙에 들어가냐는 물음에 C전문대학 산학협력처(단)장은 “그런 것도 필요하다고 한다. 타 시도에서 한 것 중 하나를 예로 들자면 지자체 내 연구원, 상공회의소, 교육청 등과 MOU를 맺는 것을 강조했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오늘 회의에서 한 가지 건의드리고 싶은 부분은, 필수과제와 선택과제 총 8개를 후보로 놓고 있다. 그중 6개 대학이 모였기 때문에 ‘이것만큼은 내세울 만하다’는 필수과제를 포함한 대표과제를 일부러라도 부각시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경기 동남부에 위치한 E전문대학 관계자는 “‘3-1. 지역산업 수요맞춤 경기 평생교육체제 지원’, ‘4-2. 경기도 지역사회 공헌·현안해결(3유형 필수)’이 결국 가장 가치 있는 것 같다. 이 두 과제를 우리의 ‘코어(Core)’ 과제로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