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덕현 전주기전대 부총장 겸 한국전문대학산학협력처단장협의회장

조덕현 전주기전대 부총장 겸 한국전문대학산학협력처단장협의회장
조덕현 전주기전대 부총장 겸 한국전문대학산학협력처단장협의회장

어떤 싸움은 시작하기도 전에 승패가 결정된다. 사람들은 ‘지방소멸’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지만, 과연 그럴까? 지역은 무너지고 대학이 사라지는 것을 가만히 보고만 있을 것인가? 지금이야말로 패러다임을 바꿀 기회다. 중요한 것은 실행력이다.

바야흐로 ‘라이즈(RISE) 시대’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즉 라이즈는 ‘지역과 함께 도약하라’는 선언이다. 그러나 단순한 지원금 정책으로 끝난다면 지역의 운명을 바꿀 수 없다. 지역과 대학이 협력해 산업을 키우고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대학이 라이즈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지역의 미래가 달라진다.

지방의 현실과 기회
2025년 현재, 많은 대학이 신입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는 더 이상 특정 대학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여기서 기회를 찾을 수도 있다. 수도권 집중 현상은 오히려 지역이 산업과 교육을 연계해 경쟁력을 갖출 기회가 될 수 있다. 라이즈는 단순한 생존전략이 아니라, 지역과 대학이 ‘공생하는 모델’을 만들어야 하는 과제다.

라이즈, 대학의 새로운 돌파구
라이즈는 단순한 재정 지원이 아니다. 본질은 ‘지역산업과 연계된 인재 양성’이다. 이제 대학은 지역 기업과 손을 잡아야 한다. 라이즈를 통해 지역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성인학습자 친화형 학사제도, 스타트업 캠퍼스를 조성할 수 있다. 지역이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라이즈의 핵심이다.

하지만 문제는 실행이다. 아직도 일부 대학은 라이즈를 단순한 예산 지원 프로그램으로 보고 있다. 그런 태도로는 변화할 수 없다. 이제 대학은 ‘우리는 지역과 함께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글로벌 성공 사례: 선진국의 지산학 협력 모델
서구 선진국에서는 대학과 지역이 협력해 산업을 육성하는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독일의 ‘듀얼 시스템’은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도록 한다. 독일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는 자동차 산업과 연계된 직업 교육을 통해 세계적인 자동차 기술자를 배출하고 있다.

미국의 테네시주 채터누가에서는 테네시 대학교와 지역 커뮤니티 컬리지가 자동차·첨단 제조업과 협력해 맞춤형 인재를 양성한다. 이 지역은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대학을 혁신 거점으로 만들고 있으며, 기업들은 졸업생을 즉시 채용하면서 지역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호주에서는 ‘TAFE(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 시스템이 있다. 이는 지역 대학과 산업이 긴밀히 협력해 실용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형태다. 예를 들어,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TAFE NSW는 관광, 의료, IT·서비스 산업과 연계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졸업생들이 해당 산업에서 즉시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빅토리아주의 박스 힐 인스티튜트(Box Hill Institute)는 지역 서비스 산업과 협력해 호텔·요식업, 헬스케어, 교육 서비스 분야에서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처럼 호주의 TAFE 모델은 지역산업과 대학이 협력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지역혁신, 이제는 대학이 움직여야 한다
이제 대학이 먼저 지역과 손을 잡아야 한다. 기업과 협력해 실질적인 인재를 길러내고, 지역 경제와 함께 성장하는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라이즈가 단순한 지원사업이 아니라, 지역을 살릴 핵심 전략이라는 점을 증명해야 한다.

이 싸움의 결과는 정해져 있지 않다. 대학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지방소멸이 현실이 될 수도, 지역혁신이 성공할 수도 있다. 이제 우리는 선택해야 한다. 단순히 버티기만 할 것인가, 아니면 변화를 주도할 것인가? 지역혁신을 위한 승부는 지금부터다. 라이즈가 해답이 될 수 있다. 그 기회를 어떻게 살릴지는 결국 우리에게 달려 있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