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미래연구원 ‘2024년 국민미래인식·가치관 조사의 기초분석’ 발표
고학력자, 삶의 만족도·일에 대한 만족도·긍정적 감정 항목에서 우위

‘2024년 국민미래인식·가치관 조사의 기초분석’ 갈무리. (자료=국회미래연구원)
‘2024년 국민미래인식·가치관 조사의 기초분석’ 갈무리. (자료=국회미래연구원)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학력이 높을수록 전반적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저학력자 등 소외계층을 위한 심층 연구 및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회미래연구원은 31일 ‘2024년 국민미래인식·가치관 조사의 기초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의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측정해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2024년 만 15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가구 방문 면접조사를 통해 진행됐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는 평균 6.81점(10점 만점 기준)으로 나타났다. 5년 전 삶의 만족도는 평균 6.64점, 5년 후 삶에 대한 기대는 평균 7.02점으로 비교적 긍정적 전망이 확인됐다. 이 같은 결과는 특히 고학력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고학력자는 5년 전 삶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5년 후 삶에 대한 기대 역시 대학교 재학 이상인 응답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7.11점을 기록했다. 이 항목 역시 고학력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반면, 중학교 졸업 이하의 응답자는 평균 6.71점을 기록하며, 다른 특성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2024년 국민미래인식·가치관 조사의 기초분석’ 갈무리. (자료=국회미래연구원)
‘2024년 국민미래인식·가치관 조사의 기초분석’ 갈무리. (자료=국회미래연구원)

또한 전체 응답자들의 삶의 의미, 성취감, 인생 결정 자유에 대해 평균 6점 이상으로 조사됐는데, 세 가지 항목 모두 고학력자 표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행복과 즐거움의 감정 또한 고학력자 응답자들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으며, 걱정, 짜증, 우울 등의 부정적 감정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표본에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중졸 이하 등 전반적 삶의 만족도 취약 계층은 사회심리적 변인에서도 부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며 “저학력, 저소득층 등 삶의 만족도에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제도적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4점으로 전년 대비 0.1점 하락했다. 이는 2021~2023년 기준 OECD 회원국 평균 6.69점보다 0.63점 낮은 수치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