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학교 ‘지역 간 격차’ ‘교원 업무 부담 증가’ 현안
“지역 특성 반영한 맞춤 지원, 광역 단위 인력 배치 필요”
늘봄학교 운영·프로그램 개발서 전문대학 역할 확대 전망

늘봄학교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지역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학계 주장이 나온다. (사진=아이클릭 아트)
늘봄학교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지역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학계 주장이 나온다. (사진=아이클릭 아트)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늘봄학교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지역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현재 늘봄학교 정책은 수도권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의견이다. 특히 올해 도입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에서도 늘봄학교 사업이 포함된 만큼, 지역 대학과 연계도 확대될 전망이다.

이정민 경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저출생 시대, 늘봄학교는 해답이 될 수 있을까?’ 보고서에서 현재 돌봄 정책은 수도권 중심으로 획일화됐다고 분석했다.

이정민 부연구위원은 “정부는 ‘늘봄학교’를 바탕으로 돌봄 대기자 해소와 맞벌이 가정의 부담 경감을 목표로 성과를 창출했지만 ‘지역 간 격차’와 ‘교원 업무 부담 증가’라는 구조적 한계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부연구위원은 “수도권 중심의 정책만으로는 지역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며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과 광역 단위 인력 배치 등 정교한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 간 교육 프로그램 접근성 차이를 해소를 위해서라도 지역 대학과의 협력이 강조된다. 이 부연구위원은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와 농어촌 간 교육 프로그램 운영 규모와 접근성에 차이가 있다. 농어촌 지역은 전문 강사가 부족해 교육 기회가 제한된다”며 “안정적인 강사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교사·외부 전문가 협력 모델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육계에서는 실제 지자체, 공공기관, 대학과 협력해 지역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수도권·비수도권 구분 없이 지역 전문대학과 함께 늘봄 학교 프로그램 개발부터 유아교육·보육 혁신에 나서고 있다.

지난 3월 ‘2025년 제1차 지역 기반형 유아교육·보육 혁신지원 사업 정책워크숍’에서는 전북 익산시 지역 기반형 유아교육·보육 사례로 익산시-익산교육지원청-원광보건대 협력 사례와 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교육청-울산과학대-춘해보건대 협력 사례가 소개됐다.

익산시는 교육지원청과 시청, 원광보건대와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유아교육·보육 혁신 기틀을 마련했다. 이후 유아 생존수영, 동물친화체험, 기후위기대응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했다. 원광보건대는 돌봄 연계 프로그램 개발과 강사 지원, 교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교육실습 시설 활용 지원 등에 나섰다.

울산광역시는 지역 대학의 시설, 인력, 인프라를 활용해 울산형 유아교육과정과 방과후, 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올해는 교육청-지자체-대학 간 협력 거버넌스를 강화해 ‘도담도담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또 ‘도담도담 방과후·돌봄’으로 지역 대학이 개발한 방과후, 돌봄 프로그램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유치원 운영 지원에 나선다.

이 밖에도 전문대학가에서는 라이즈에서 지역사회 교육과 돌봄 기능 확대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삼육보건대, 서울여자간호대, 한양여대, 배화여대 등 4개 전문대학은 삼육대와 함께 ‘서울 RISE 사업 컨소시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대학은 ‘서울 미래키움 교육지원 생태계 구축’ 과제 수주를 목표로 협력한다. 향후 5년간 100건의 지역 현안문제를 발굴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역사회 돌봄 기능 강화에 나선다.

또한 교육청과 협력해 늘봄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늘봄센터 구축, 인력양성·재교육 등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해 ‘서울형 초등 늘봄학교’ 모델을 선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