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분석’부터 ‘문장 설계’까지… 금융권·IT직군 활용도 높아
‘AI 판별 프로그램’ 도입 두고는 찬반 엇갈려… 역량 vs 과의존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Z세대 구직자 10명 중 9명은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9일 채용 플랫폼 캐치는 Z세대 구직자 2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소개서 작성 시 AI 활용 경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1%가 AI를 활용해 자소서를 작성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AI를 사용해 본 적 없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AI 활용 목적(복수 응답)으로는 △기업 및 직무 분석(43%) △문장 구조 설계(34%) △생각 정리 및 명확한 전달(33%)이 주요 항목으로 꼽혔다. 뒤이어 △빠른 작성(26%) △어휘 다양성 확보(20%) △오탈자 검수(14%) 등 순이었다.
최근 기업에서 도입을 고려 중인 ‘AI 판별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 반대하는 의견은 33%, 찬성하는 의견은 23%로, 두 입장 간 10%포인트 격차가 있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4%에 달했다.
도입 반대 이유로는 ‘AI활용도 하나의 역량이라서’가 56%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누구나 AI를 사용하는 시대여서(21%) △판별 기술의 정확도에 의문이 들어서(18%) △취업 준비는 효율성도 중요하기 때문에(4%) 등 순이었다.
찬성 이유로는 ‘과도한 AI 의존은 문제(48%)’라는 지적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AI 제한이 공정한 평가로 이어질 것(20%) △AI 사용 시 진정성 저하 우려(18%) △형식적인 자소서 증가(13%) 등의 우려가 제기됐다.
한편, 지난 2월 AI 기술 기업 무하유가 자사 서류평가 솔류션 프리즘에서 GTP킬러 기능을 활용해 지난해 기업 및 공공기관 등에 제출된 자기소개서 약 89만 건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48.5%가 생성형 AI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하반기 채용에서 AI를 활용한 자소서 제출 비율이 상반기 대비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금융권 지원자의 AI 활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직무별로는 IT·개발 직군 지원자(27.3%), 연구직(21.7%), 비개발직(17.4%) 순으로 나타났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디지털 기술 활용에 익숙한 Z세대에게 AI는 이미 자연스럽게 내재화된 도구”라며 “대부분 AI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원자가 이를 얼마나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진 않을지 등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