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지역 14개 대학과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참여
일반대학 11개교, 전문대학 3개교 총 14개교 참여
재정요건·인턴활동 기준 완화로 2년간 1000명 유치

부산광역시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사진=아이클릭아트)
부산광역시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사진=아이클릭아트)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부산광역시가 지역대학과 함께 반도체·이차전지·미래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시행한다. 지역 전략산업에 필요한 해외인재를 지자체에서 대학과 함께 유치하려는 움직임이다. 부산시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와 연계해 ‘글로벌 허브도시’를 목표로 이공계열 글로벌 실무형 인재 양성에 집중할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박형준 부산시장 주재로 지난 21일 ‘부산광역시 광역형 비자 관계기관 회의’가 진행됐다.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 대학 14개교 관계자와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글로벌도시재단, 부산라이즈혁신원,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가 참석했다.

시범사업 참여대학은 총 14개교다. 일반대학에서는 경성대, 부경대, 한국해양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부산대, 부산외대, 신라대, 영산대 등 11개교다. 전문대학은 경남정보대, 동의과학대, 부산과학기술대 등 3개교가 참여한다.

광역형 비자는 비자 발급과 체류 기간 결정 등을 광역자치단체에 이임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올해부터 시범사업 형태로 운영되는데, 지난 4월 법무부는 광역형 비자 시범 지역으로 유학 비자(D-2) 10개 광역지자체(서울, 부산, 인천, 광주,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 특정활동 비자(E-7) 4개 광역지자체(대구, 대전, 울산, 경기, 경북, 경남)를 선정했다. 

시는 앞으로 2년간 1000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할 계획이다. 특히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차 부품 분야로 유학생들을 받는다. 유학생들은 이들 산업 분야에 특화된 전공과정을 이수하고 실습·인턴을 바탕으로 취업과 정주 지원을 받는다. 광역형 비자로 D-2를 발급받은 유학생들은 재정요건 완화, 학기 중 인턴 활동 허용, 산업 연계 교육과정, 기숙사·정주 지원, 정주형 비자 전환 등의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아울러 라이즈, 글로컬대학30, 특성화대학 등 주요 국책사업과 연계해 광역형 비자사업을 ‘부산형 글로벌 인재 전략’의 핵심 플랫폼으로 확장한다. 시는 ‘부산형 유학생 유치지원 전담조직(TF)’을 구축하고 대학과 유관기관 소통에 힘쓰고 있다. 또 앞서 지난 2월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부산시-대학 외국인 유학생 유치방안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시의 이러한 유학생 유치 전략은 라이즈 계획에서도 드러난다. 시는 라이즈에서 ‘2030 글로벌 허브도시의 뉴 웨이브(NEW WAVE)를 만드는 부산형 라이즈’ 비전을 설정하고 단위과제에 ‘지역·대학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포함시키고 해외 인재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