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동인청사서 대구지역 10개 대학 부총장과 지역·대학 내용 공유·토론
‘지속 가능한 대학과 지역을 위한 요건과 연구사례’ 등 주요 과업 구성돼

대구광역시는 11일 동인청사에서 ‘지역과 대학의 상생발전전략 수립 정책연구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사진=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는 11일 동인청사에서 ‘지역과 대학의 상생발전전략 수립 정책연구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사진=대구광역시)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대구광역시(이하 대구시)가 지역·대학이 협력을 통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정책연구에 착수했다.

대구시는 지역·대학의 협력을 강화하고 상생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자 11일 동인청사에서 ‘지역과 대학의 상생발전전략 수립 정책연구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연구는 지역 인재 양성과 이들의 지역 정주를 통해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추진됐다.

착수보고회는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 주재로 진행됐으며 지역 10개 대학(경북대, 계명대, 대구교대, 계명문화대, 대구공업대, 대구과학대, 대구보건대, 수성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의 부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연구과제는 지방소멸 위기 속 지자체·대학이 혁신과 상호 지원을 통해 대응 방안을 수립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한,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가 올해부터 도입되며 교육부 5대 재정지원 사업을 비롯한 지방대학 재정지원 사업의 상당부분이 지자체 주도형 대학 육성 지원 사업으로 전환되는 등 정책여건 변화에 맞춰 상생 발전 전략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과, 지역과 대학이 상생협력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날 착수보고회에서는 정책연구과제 수행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이 연구과제를 발표한 뒤, 지역과 대학이 내용을 함께 공유하고 토론했다.

주요 과업으로는 △지역·지역 대학의 위기와 배경 △지속 가능한 대학과 지역을 위한 요건과 연구사례 △지역-대학 간 협력 사업·역할 △지역-대학 간 상생발전전략·실천과제 도출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과제 추진 단계는 △지역 교육과 일자리 현황 분석 △지역-대학 협력 연구와 사례 검토 △지역-대학 협력 모델과 전략 △상생발전 과제 개발 단계로 예정돼 있다.

이번 연구는 약 6개월간 진행되며, 중간보고회와 최종보고회를 통해 상생발전 목표와 비전 체계 수립 후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도출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지역 혁신 성장의 핵심은 지역 인재를 스스로 키우고 활용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지역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대학 자체 혁신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산업-대학 간 혁신인재 수요공급 체계가 구축·마련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