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업 영훈고 교사
지난 회차에서 전문대학 예체능계열 전공 중 음악 분야의 전공 소개와 입학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뤄봤다. 이번 회차에서는 전문대학 예체능계열 전공 중 미술 분야의 전공에 대한 소개와 입학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겠다.
미술 분야는 디자인 관련 학과가 가장 많이 개설돼 있고 그 외 응용미술, 만화애니메이션, 공예주얼리, 사진 분야의 전공이 개설돼 있다.
응용미술 분야
무대미술과 미술치료, 아트테크놀로지 등 다양한 분야가 있으며 개설된 대학으로는 계원예대(순수미술과, 융합예술과), 동서울대(무대미술과), 동아방송예대(무대미술과), 청강문화산업대(무대미술전공), 세경대(미술치료과), 부산예술대(미디어아트테크놀로지과,에이블아트자립과) 등이 있으며 대부분 실기전형으로 선발하지만 청강문화산업대는 실기전형과 면접전형, 학생부(수시), 수능(정시) 전형으로 분할해서 모집하고 있다.
만화·애니메이션 분야
만화와 애니메이션 분야의 학과는 예전부터 인기가 많았지만 최근 웹툰 열풍이 불면서 웹툰관련학과가 많이 개설됐다. 개설된 대학은 서일대, 한양여대, 부산경상대, 계명문화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 조선이공대, 대덕대, 우송정보대, 한국영상대, 경기과학기술대, 계원예대, 동서울대, 여주대, 연성대, 용인예술과학대, 유한대, 장안대, 청강문화산업대, 강동대, 백석문화대, 순천제일대, 청암대, 구미대, 창원문성대 등이며 실기위주로 선발하는 대학과 학생부위주로 선발하는 대학으로 나뉘고 학생부위주로 선발하는 대학의 입학생의 평균성적이 조금 더 높은 편이다. 한국영상대학의 경우에는 웹툰PD전공이라는 다소 생소한 학과도 개설돼 있으며 일반전형1은 학생부100, 일반전형2는 학생부40 면접60, 일반전형3은 학생부40 실기60으로 나눠서 선발한다. 그리고 웹툰과 애니메이션을 분리해 선발하는 대학도 있고, 게임애니메이션, 영상애니메이션 등으로 선발하는 대학도 있다.
공예·주얼리 분야
예전에는 공예학과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귀금속을 다루는 주얼리전공이 주로 개설돼 있다. 개설되어 있는 대학은 숭의여대, 인덕대, 동서울대, 장안대, 원관보건대 등이며 대부분 학생부100으로 선발하고 있으며 인덕대는 일반전형으로 실기전형선발이 일부 있다. 정시에는 수능과 학생부를 이용해서 선발하며 인덕대만 실기전형을 운영한다.
사진 분야
사진학과과 개설돼 있는 대학은 많지 않은데, 대부분 영상전공과 같이 개설돼 있다. 개설돼 있는 대학은 재능대, 계원예대, 서울예대, 신구대 등이며 서울예대와 계원예대에서만 실기전형이 있고 다른 대학은 학생부와 수능성적으로 선발한다.
패션·의류(섬유)디자인 분야
패션디자인 분야는 의복이 분야별로 전문적이고 다양화돼 있고, 소재와 기능에 따라 디자인이 다르며, 패션산업도 다양화돼 적극적인 마인드와 끈기, 체력이 요구되며 시대의 흐름에 따른 관찰력과 창의성이 필요하다. 특히 디자인, 의복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사회현상, 트랜드, 사람들의 심리에도 관심이 있다면 전공 공부에 유리하다. 개설돼 있는 대학은 경남정보대, 배화여대, 서일대, 숭의여대, 한양여대, 계명문화대, 영남이공대, 경인여대, 인하공전, 대전보건대, 경기과학기술대, 동서울대, 동아방송예대, 수원여대, 신구대, 여주대, 연성대, 오산대, 용인예술과학대, 유한대, 장안대, 청강문화산업대, 군장대, 전주기전대, 백석문화대 등이며 수도권에 많이 개설돼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학생부와 수능으로 선발하며 청강문화산업대만 유일하게 실기전형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방송에서 스타일리스트라는 직업이 많이 노출되다 보니 패션디자인과 관련해 스타일리스트를 양성하는 학과도 같이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예체능 중 미술 분야에 대한 첫 번째로 여러 세부 분야를 살펴봤는데, 다음 회차에서는 디자인 분야 중 가장 많이 관심이 가는 영상디자인과 제품디자인 분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한국대학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