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경험·취업 연계 등을 위한 ‘산학협력’ 집중, 현장 중심 전문가 양성 박차
인공지능(AI), 디지털전환(DX) 수요 맞춤형 교육체계, 실습환경 구축 ‘눈길’
성인학습자, 외국인 유학생 등 신(新) 유형 입학자원 위한 맞춤형 학과 신설

거제대 공학계열 실습수업 모습. (사진=거제대)
거제대 공학계열 실습수업 모습. (사진=거제대)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고등직업교육, 현장 실무형 교육을 선도하는 전문대학들이 인공지능(AI) 발달, 디지털 전환(DX), 초고령사회 등 급변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인재 양성에 주력한다. 전문대학들은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실무중심의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전 연령을 아우르는 평생교육 등을 제공하고, 해외 취업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키우며 산업 수요에 맞춘 학과 신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학생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인재를 키우는 국내 주요 전문대학들의 차별화된 교육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거제대학교 = 거제대는 조선해양 분야의 현장 전문기술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거제도에 위치한 한화오션과 삼성중공업을 비롯한 관련 자회사·협력업체들과 활발한 산학협력을 통해 현장 밀착형 교육을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 계명문화대학교 = 계명문화대는 ‘글로컬 평생직업교육 거점 대학’의 선두주자로, 지난해 대구지역 전문대학 중 유일하게 국립국제교육원으로부터 한국어능력시험(PBT) 운영기관으로 지정됐다. 또한 성인학습자 전담학과, 주말·야간·온라인 강의 등을 운영하며 2022학년도 성인학습자 정원 115명에서 2025학년도에는 440명으로 약 4배 증가했다.

■ 계원예술대학교 = 예술과 디자인·기술·교육·사회가 하나로 융합되는 ‘창의 실천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계원예대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협업해 기후위기 대응을 주제로 한 특별전시 ‘사명(使命, Mission), 미래를 지키는 사람들’을 기획·주관했다. 이 전시는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2024 산학협력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는 데 기여했다.

■ 대경대학교 = 대경대는 경북 경산시 테마캠퍼스와 경기도 남양주시 한류캠퍼스를 통해 대경대만의 산학일체형 교육시스템인 ‘Exp-Up Station’을 구축했다. 1개 학과 1개 기업을 운영하면서 현장 투입형 전문가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세계 최초로 대학캠퍼스에 동물 체험테마파크 ‘THE ZOO’를 구축했고 공연예술, 뷰티, 식음료, 동물 등 융복합 서비스 산학협력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

■ 대동대학교 = 대동대는 재단병원인 대동병원과 함께 지역경제,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힘쓴다. 간호학부는 부산지역 전문대학 중 유일하게 관련 교직과정(입학정원 10%)을 인가받아 운영 중이다. 1971년 이후 지역에서 가장 많은 8000여 명의 간호사를 배출했으며 2년 동안 입학정원 증원, 상급종합병원을 임상실습지로 추가 확보해 학생들의 현장경험·취업 연계 등을 지원한다.

■ 대림대학교 = 지산학 융합직업교육 특성화를 추진 중인 대림대는 올해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는 ‘혁신융합대학 반도체 소부장 사업’과 디지털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디지털새싹(A형)’사업에 선정됐다. 또한, 학생들의 입학부터 취업매칭까지 지원하고자 학생주도 역량개발 비교과 통합 플랫폼(BeACE)을 운영한다.

6월 15일 교내 본관 5층 나이팅게일홀에서 진행된 ‘제2회 K-컬처 페스티벌’. (사진=동강대)
6월 15일 교내 본관 5층 나이팅게일홀에서 진행된 ‘제2회 K-컬처 페스티벌’. (사진=동강대)

■ 동강대학교 = 동강대는 ‘타깃형 학과’로 외국인 유학생, 실버세대 공략에 나선다. 2026학년도 △글로벌한국어학과 △Aged Care과 △AI미래자동차과 △AI미래모빌리티과 △글로벌비즈니스과 △파크골프리더과 등 6개 학과를 신설한다. 글로벌한국어학과, Aged Care과, AI미래자동차과는 외국인 유학생만 선발한다. 글로벌비즈니스과는 국내·외국인을 함께 모집하고, 실버세대 중심의 파크골프리더과·AI미래모빌리티과는 초고령사회·미래형 모빌리티 산업 등 사회 트렌드를 반영했다.

■ 배화여자대학교 = 배화여대는 AI(인공지능)·DX(디지털전환) 기반의 직무 중심 융합 교육을 강화한다. 2주기 혁신지원사업에서 개발된 ‘A.I.4(AI Initiative 4)’ 융합 교육 모델은 △AI 기반 교수법 고도화 △도제식 AI 수업(현장 중심 실무형 교육) △데이터 분석·활용 중심 교육 △AI 리터러시 기반 비교과 교육 등 4대 핵심 축을 중심으로 설계됐다. 교육 데이터 기반 학습 성과 관리 시스템인 ‘Digital COACH’를 통해 학생 개인의 진로 설계, 학습 성취도 분석, 역량 성장 데이터 등을 통합 관리한다.

■ 서영대학교 = 지역산업 수요와 실무중심 교육에 부합하는 다양한 특화 학과를 운영 중인 서영대의 AI미래자동차과(광주), 미래자동차과(파주), 소방안전과(파주), 뷰티미용과(광주)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정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훈련기관이다. 또한, 실용한국어과·산업공학과 등 외국인전담학과는 전문학사학위과정으로 구성되며, HD현대삼호 사내협력사 80여 개, 한국알프스 등과 협약을 맺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안정적인 산업체 취업을 지원한다.

■ 서울예술대학교 = 서울예대 시각디자인전공은 1975년 국내 최초로 응용미술과에서 출발했다. △실무 중심의 창작교육·산학협력 △해외 인턴십 △연계·순환·통합 교육 △AI 등 첨단기술 수용 △생태적 감수성·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디자인 교육을 강화하는 등 5대 비전과 함께 창의융합형 디자인 교육에 주력한다.

■ 서일대학교 = 서일대는 건학이념인 ‘지덕배양(知德培養) 초지일관(初志一貫)’을 통해 지성·덕성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한다. ‘명심보감’을 교양 교재로 채택하는 등 건학 초창기부터 인성교육을 중시해 왔다. 또한 지난 1975년 설립된 이후 유아교육, 보건, 디자인, 정보기술 등 실용 전공을 중심으로 확장하며, 산업 현장에 필요한 실무형 전문인재 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 서정대학교 = 교육 본질과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서정대는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에서 ‘교육품질 인증대학’(2025~2029)으로 선정됐으며, 간호교육인증평가에서도 인증을 획득해 간호교육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와 함께 미래 유망 산업 분야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현장 실무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 중이다.

■ 세경대학교 = 세경대는 ‘작지만 강한 대학’ ‘학생과 함께 성장하는 대학’을 모토로 학생들의 취업 역량 강화에 주력한다. 재학생 성향별 맞춤형 진로 설계를 돕고, Chat GPT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작성과 AI 기반 면접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AI를 통한 취업교육을 진행한다. 학생·전담 교수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한 ‘평생지도교수제’도 운영 중이다.

■ 송곡대학교 = 2025년 중장기 발전계획 ‘SGU 2025+’ 기본계획을 수립한 송곡대는 ‘휴먼케어 트렌드를 주도하는 WITH형 인재양성’을 비전으로 내세웠다. 교육 우수성을 입증받아 1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에 이어 2주기 사업에도 선정됐고, 2021 대학정보공시 기준 취업률 79.7%를 기록하며 충청·강원권역 전문대학 취업률 1위를 달성했다.

■ 숭의여자대학교 = 숭의여대는 지난해 창립 120주년을 맞이해 ‘THE GREAT 창의·인성 중심 최고 대학’ 비전 2030을 선포하고 미래인재 양성·지속 가능한 미래대학으로 도약·혁신을 추진한다. AI·DX 기반 역량을 갖춘 실무형 융합 인재 양성에 힘쓰고 일본 세이카 여자 대학교와의 학점교류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2025학년도부터는 국제교류센터 내 한국어교육과정을 신설해 베트남 학생들이 한국어 학습과 한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 신성대학교 = 최고의 인성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신성대는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자율혁신 대학’으로 주목받고 있다. 1600여 개 유관기관과 협약하는 등 산업체와 협력하고, 13개국 40개 대학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글로벌 교육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한 ‘반값 등록금’ 정책을 실시해 2023년 기준 전체 재학생의 87%가 장학금을 받았으며, 전액 장학금 수혜율도 35.6%를 기록했다.

■ 아주자동차대학교 = 올해 개교 30주년을 맞은 국내 유일 자동차 특성화 대학인 아주자동차대는 6개의 자동차 관련 세부 전공을 운영한다. 특히 ‘모터스포츠 전공’은 국내 대학 중 유일하게 개설됐으며, ‘자동차튜닝 전공’은 아주자동차대를 포함해 소수의 대학만이 운영 중이다. 이와 함께 아주자동차대 캠퍼스 내에는 3600평 규모의 주행실습장이 마련돼 있으며, 170여 대의 실습용 차량 등 풍부한 인프라를 갖췄다.

■ 안산대학교 = 안산대는 1973년 ‘인천간호전문학교’로 출범했으며, 보건·간호 분야에서 국가고시 전국 수석 배출, 국가 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2026학년도 수시모집부터 성인학습자 전담 학과를 대폭 확대 운영한다. 이번에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신설되는 ‘공공조달학과’는 만 21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실무 중심 학과로 공공조달·계약, 회계 분야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유아교육과도 성인학습자 특별전형을 도입해 만 21세 이상 학습자도 지원 가능하다.

■ 연성대학교 = 연성대의 모든 학과는 ‘Gem경력개발 로드맵’이라는 직무별로 세분화된 로드맵을 구축했고, 에듀테크 기반 스마트에듀를 접목해 학생 맞춤형 경력개발·취업 준비를 지원한다. 2026학년도에는 간호학과를 신설해 교육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지난 10여 년간 대한민국 혁신 전문대학 사업,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3.0, 링크 3.0) 사업에 연속 선정됐으며, 지난 2021년 전국에서 5개 대학 컨소시엄만 선정하는 마이스터대학(전문기술석사과정)에 최초로 선정된 바 있다.

■ 연암공과대학교 = ‘AI 기반 공학계열 특성화 대학’인 연암공대는 스마트팩토리와 항공우주 분야를 대학의 특성화 분야로 설정하고 주문식 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등을 통한 융복합 공학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성, 인공지능(AI) 활용 능력, 어학 능력 등 핵심 기반 역량을 갖춘 ‘바른 인성, 최고 인재’ 양성에 힘쓴다.

■ 오산대학교 = 오산대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AI, 스마트팩토리, 반도체 등 신산업 핵심 분야 교육을 강화한다. 또한 우수한 교육을 입증받아 ‘2023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에 이어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2.0’에 연속 선정됐다. 산업체와 연계한 산학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반도체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현장 맞춤형 실습환경 구축 등 실무 중심의 교육 혁신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 유한대학교 = 유한대는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포함하는 ‘웰니스’ 분야 특성화를 추진한다. 보건의료, 헬스케어, 식품영양, 뷰티, 콘텐츠 등 다양한 전공을 연계한 다학제 기반의 모듈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메타버스·AI·IoT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실습 환경을 구축해 실무역량 강화를 도모한다. 2026학년도에는 치위생과를 신설한다.

송도글로벌캠퍼스 바이오생명과 실험실. (사진=재능대)
송도글로벌캠퍼스 바이오생명과 실험실. (사진=재능대)

■ 재능대학교 = 재능대는 ‘미래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평생직업교육대학’을 비전으로 삼고, ‘보다 나은 교육을 통한 보다 나은 삶’을 실현하기 위해 AI&BIO 중심의 창의융합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또한 산업체 맞춤형 산학협력, 전국 대학 최초의 뇌건강센터 운영 등 특화된 교육 인프라를 구축했다. 올해 ‘K-하이테크 플랫폼’ 사업에 전국 전문대학 중 최초로 단독 선정됐으며, ‘2025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사업에는 수도권 전문대학 중 유일하게 선정됐다. 2026학년도에는 ‘글로벌태권도학과’가 새롭게 개설될 예정이다.

■ 제주관광대학교 = 국내 최초 관광 특성화 대학인 제주관광대는 미래산업 수요에 맞춘 융합 전문 인재를 키운다. 융복합 교육과정 운영, 디지털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 기반 교육 인프라 구축, 쾌적하고 안전한 현장 실무중심의 미래형 교육 캠퍼스를 주도하고 있다.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을 통해 지난 2017년 이후 학생들이 뉴질랜드 치과기공 산업체인 Newmarket Dental Studio Ltd, Oralart Dental Ceramics, TCB Dentures 등에서 해외취업에 성공했다.

■ 조선이공대학교 = 조선이공대는 급변하는 산업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를 양성하기 위해 창의·융합 중심의 직업교육 혁신을 추진한다. 산업현장을 그대로 구현한 ‘테크숍(Tech-Shop)’, 디지털 제어 실습이 가능한 ‘스마트 팩토리’, 인문소양 공간으로 기능하는 ‘JOY 도서관’ 등의 실습·학습공간은 현장성·창의성을 동시에 갖췄다.

■ 춘해보건대학교 = 춘해보건대는 57년 전통의 명문 보건의료 특성화 대학이다. 간호학부는 간호 시뮬레이션센터를 증설했고, 응급구조과는 ‘원스톱형 임상시뮬레이션센터’를 운영해 학생들의 실제 상황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산림조경비즈니스과, 웰니스문화관광과, 사회복지케어과, 글로벌케어과를 신설하며 평생교육의 선도적 역할을 이어가고 있으며, 오는 2026년에는 글로벌뷰티과·평생교육상담과를 신설한다. 울산광역시에서 유일하게 2026학년도 ‘행동분석재활융합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를 받았다.

■ 한국영상대학교 = ‘K-콘텐츠’ 인재 양성소로 주목받는 한국영상대는 방송영상특성화대학이다. 최근에는 세종시 유일의 XR스튜디오를 구축해 AI 기반 모션캡처 특강과 언리얼 엔진 기반 실시간 콘텐츠 제작 교육을 진행했다. 한국영상대는 690여 개 산업체와 협약을 맺고, 주문식 교육·현장실습·캡스톤디자인·취업캠프 등 다양한 산학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혜전대학교 = 혜전대는 실무 중심 교육과정을 통해 현장이 원하는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 다채로운 민관산학 협력 프로젝트로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스마트팜식품융합과는 홍성군 대표 특산물인 딸기와 돼지고기를 융합한 ‘딸기소시지’를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특허를 출원했다. 1996년 대한민국 최초로 제과제빵학과를 개설했으며, 2026학년도부터 국내 최초로 ‘제과제빵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운영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