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협, 26~27일 ‘2025 하계대학총장세미나’ 열어
조성준 서울대 빅데이터 AI 센터장, 주제 발표 진행
“기존 교육 받은 아이들, AI와 경쟁 시 백전백패… 대학, 변화해야”
[경주=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우리는 AI와 경쟁할 것인지, 보완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보완이란 AI와의 협업을 의미한다. AI 시대를 맞아 대학은 적응하고 협업하며 미래를 이끌어갈 학습자를 양성해야 한다.”
27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2025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하계대학총장세미나’에서 조성준 서울대 빅데이터 AI 센터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조 센터장은 “AI는 벌써 전문가의 수준을 넘어섰다. 인문학 전문가보다 에세이를 더 잘 쓰고, 초급 컨설턴트 수준의 기획 역량을 보유해 SWOT 분석이 가능한 수준”이라며 “디자이너가 수일 걸리는 시안도 수 분 내 완성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읽기, 쓰기, 암기 등의 교육을 앞으로도 이어갈지 돌이켜봐야 한다”며 “기존의 교육만 받은 아이들이 세상에 나와 AI와 경쟁하면 백전백패할 수밖에 없다. 학교에서는 AI가 못하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조 센터장은 변화한 시대에 맞춰 △비판적 사고 △창의성 △융합적 사고 △협업·리더십 △메타학습과 적응력 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AI가 코딩을 해오고 레포트를 만들었을 때 제대로 했는지 들여다보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연결해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도 중요하다. 예컨대 기후 문제는 화학과, 정치학과, 소비자학과 등이 모두 걸쳐 있는 이슈로, 경계를 넘는 지식과 융합적 사고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AI 시대의 대학은 필수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 조 센터장의 설명이다. 그는 △구조 △거버넌스 △교육 과정 △교수 역할 △학생 평가 방식 △신입생 선발기준 △교육 기간 등에서 대학이 변화를 맞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체적으로 학과 중심 대학을 문제 중심의 생태계로 탈바꿈하고, 교수 중심의 경직된 의사결정 구조에서 나아가 학생, 동문 등이 함께하는 대학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암기력을 테스트하는 교육에서 벗어나 실제 상황에서 지식을 적용하고 협업할 수 있는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고 전했다.
나아가 대학은 일회성 교육이 아닌, 지속해서 평생학습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호기심과 지적 민첩성, 회복 탄력성과 끈기를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센터장은 “기존에 우리가 가르치는 방식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며 “비판적 사고, 적응력 등을 길러내기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그렇게 길러낸 인재들이 AI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