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으로 지명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 첫 출근… 교육 통한 국가 균형 발전 실현
‘서울대 10개 만들기’, 대학 등록금 규제 완화 등 기대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은 30일 “대통령께서 지방에 있는 저를 부른 이유는 교육을 통해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하겠다는 뜻이 담겨있는게 아닐까 생각한다”며 “앞으로 교육 현장과 소통하고,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면서 주어진 소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진숙 후보자는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첫 출근하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으로 지명했다. 이 후보는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추진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이에 거점국립대 10개를 서울대 수준으로 육성한다는 공약의 기틀을 잡는 데 추진력이 더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지방 사립대 위주로 지원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이 후보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거점국립대뿐 아니라 국가중심대나 지역 사립대와 동반 성장하겠다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학과 지역, 지자체 등 현장과의 의견 수렴 및 소통을 하면서 신중하게 방법론을 세우고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교육 과열 해소 방안에 대해서는 “공교육을 강화해 공교육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사교육을 좀 낮추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입시 경쟁을 약화시키기 위한 전략이 바로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같은 정책이다. 지역에 우수한 명문대를 두면 지역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아가면서 서울에 있는 대학으로 몰리려고 하는 것이 많이 완화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후보는 대학의 등록금 인상 규제 관련 계획에 대해서는 “대학 총장일 당시 대학의 재정 위기를 엄청나게 겪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재정 상황을 보면 등록금 인상 제한 원칙을 존중해야 되는 입장”이라며 “다만 학교 재정이 워낙 어려우니까 그대로 방치할 수만은 없어 방도를 찾긴 해야 한다. 그것이 등록금 인상일지 다른 방법이 있을지는 고민해 보겠다”고 답했다.
대학 총장 출신으로 유초중등 분야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유아부터 고등교육까지는 생애전주기적인 시스템에 의해 접근해야 히며, 한 단계도 소홀히 다뤄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고등교육 현장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그와 동시에 유초중등 분야 교육은 해당 분야 전문 교육 전문가와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파악해 이해하면서 새 정부에서 추진할 새로운 정책들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의료 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사 유연화 정책에 대한 질문에는 “상황을 정확하게 보고 다양한 의견을 들으며 조금 더 심도있게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