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예산, 2차 추가경정예산서 37조 2092억 원으로 확충
해당 예산, 청년 일자리 기회↑·고용안전망 보강 등 활용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의 제2회 추가경정예산이 총 1조 5837억 원 규모로 확정됐다. 해당 추가경정예산안에는 일반계고 학생의 직업훈련 확대를 위한 예산 확충, 실업자를 위한 실업급여 예산을 보강하는 등 내용이 담겼다.
7일 고용부에 따르면 국회 본회의에서 지난 4일 2025년도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이 의결된 가운데 고용부 소관 추가경정예산은 총 1조 5837억 원 규모로 의결됐다.
고용부 예산은 2025년 본예산 35조 3452억 원에서 1차 추경 당시 35조 6255억 원, 2차 추경으로 37조 2092억 원으로 늘었다.
고용부의 2차 추경 예산은 △청년 일자리 기회 확대 △고용안전망 보강 △체불·저소득근로자 등 민생회복 지원 등에 활용된다.
조기 취업을 희망하는 일반계고 3학년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직업훈련이 확대된다. 1820명이 늘어난 7000명을 대상으로 지원되며, 지원금액은 160억 원이 증액됐다.
또한 지역 청년 구직자의 일자리 기회를 확대하고,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비수도권에서 채용박람회와 취업 프로그램을 개최하는 데 20억 원이 확충됐다.
지역 중소기업에 채용될 예정이거나, 재직 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양질의 직업훈련을 제공하는 컨소시엄훈련도 확대된다. 101억 원이 증액 편성됐으며, 공동훈련센터도 30개소에서 35개소로 확대됐고 대중소상생아카데미는 100개에서 150개로 늘어났다. 컨소시엄 훈련은 대기업·대학 등이 중소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자체 훈련 여건이 열악한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공동훈련 실시하고, 정부는 인프라·프로그램 비용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소득이 불안정한 실업자의 생계유지를 위한 실업급여 예산도 1조 2929억 원이 늘었다. 지원 대상은 18만 7000명이 증가됐다.
고용보험을 적용받지 않는 취업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생계지원과 맞춤형 취업지원을 제공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에 건설업 등 현안업종 특화유형 1만 명을 새롭게 개설했다. 지원 대상은 5만 5000명이 늘어났으며, 1652억 원이 추가됐다.
이외에도 체불근로자의 신속한 권리구제를 위한 체불청산지원융자 금리 인하·규모 확대에 81억 원이 증액됐으며,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258억 원, 폭염예방장비 투자를 위해 150억 원이 확충됐다. 또한 고용보험 미적용자를 위한 출산급여 지원 확대에 128억 원, 광업의 분진작업에 종사해 진폐에 걸린 근로자와 가족의 생활보호를 위해 진폐근로자에게 위로금 차액을 지급하는 데 450억 원이 증액됐다.
고용부는 “신속한 계획 수립·절차 간소화, 사업별 집중 홍보 등을 통해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이 현장에 빠르게 집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