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 “李 대통령 공약 완벽 이해한 분 있어”
‘서울대 10개 만들기’ 관여 차정인 전 총장, 성기선 교수 ‘주목’
‘교사 출신’ 백승아 의원·강민정 전 의원, 박백범 전 교육부 차관 물망
[한국대학신문 주지영 기자] 교육부 장관 후보자였던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이 지명 철회되면서 새 후보자에 대한 교육계 관심이 뜨겁다. 정치계와 교육계를 중심으로 여러 인사들이 물망에 오르며 새로운 교육계 수장이 누가 될지 이목이 집중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0일 이진숙 전 총장의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했다. 이 전 총장의 지명이 철회되면서 현재 공석이 된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자리에는 교육계와 정치계 주요 인사들의 이름이 오르고 있다.
먼저 대학가에서는 대학 총장 출신 인사로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이 물망에 올랐다. 최근 국가거점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이하 총장협의회)가 발표한 공식 입장문에서 언급한 인물도 차정인 전 총장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총장협의회는 지난 23일 ‘교육부 장관을 추천합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배포했다. 총장협의회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추진해 지역균형발전에 큰 전기를 만들어낼 인물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하마평에 오른 분 중에 국가거점국립대총장 재직 중 이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했으며 21대 대선을 앞두고 전·현직 거점대총장과 전·현직 교육감 26명 연명으로 정책제안서를 집필하는 등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 공약을 완벽히 이해하고 있는 분이 있다”고 밝혔다.
또 총장협의회는 “대학은 연구개발과 인재양성으로 과학기술, 문화·예술·체육, 보건·복지, 고용·노동, 중소벤처 등 국정 전 분야를 뒷받침해야 하므로 종합대학 총장 경험은 교육부 장관 업무 수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학가에서는 총장협의회가 추천한 인물이 차정인 전 총장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차 전 총장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 설계·제안과 관련 토론회 참여 등 핵심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대학 총장 출신에도 지난 4.2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바 있어 초중등 교육에도 관심이 깊은 것으로 전해졌다.
차 전 총장은 부산대 법대 출신으로 사법시험 합격 후 검사·변호사로 활동하다 2006년 부산대 법대 교수로 부임했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부산총괄선거대책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이 대통령과는 사법연수원 18기 동기로 알려졌다.
교육계 또 다른 인물로는 성기선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카톨릭대 교수)도 언급된다. 성기선 교수는 문재인 정부 때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을 지냈으며 지난 2022년 경기도교육감 후보이기도 했다. 성 교수는 차 전 총장과 함께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에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에서는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하마평에 올랐다. 백승아 의원은 춘천교대를 졸업한 뒤 17년 동안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초등교사로 재직했던 교사 출신 의원이다. 지난 6월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으로 임명됐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도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박경미 대변인은 홍익대 수학교육학과 교수 출신으로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연구원으로도 활동했다. 또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교육비서관으로 지냈다.
현역 의원이 아닌 사람 중에는 강민정 전 의원과 안민석 전 의원도 언급된다. 특히 이들은 장관 차출로 의원 자리에 관련되지 않아 더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강민정 전 의원도 25년 동안 역사 교사로 재직했으며 이후 더불어민주당 교육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했다. 지난 21일 전북교사노조와 장애인교원노조는 강 전 의원을 새 후보자로 공개 추천했다.
안민석 전 의원은 이 대통령의 대선 후보 당시 직속 기관이었던 미래교육자치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또 안 전 의원은 지난 2018년 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이외에도 박백범 전 교육부 차관,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교육부 장관 하마평에 꾸준히 오르내리고 있다.
앞서 이진숙 전 총장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후 논문 표절, 자녀 조기 유학, 건강보험 가입 문제 등 여러 의혹에 휩싸였다. 이와 관련해 지난 16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논물 표절 의혹을 해명하고 일부 논란에 대해 인정하고 사과했으나 교육계 반발은 지속됐다. 또 청문회에서 주요 교육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못해 교육 정책 수장으로서 전문성과 정책 준비 면에서 확신을 주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