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격대학협의회 21일 총장 세미나서 성명서 발표
“소외계층 교육기회 제공했는데 배제, 형평성 어긋나”
“사이버대도 지역 연계·평생직업교육 거점 역할 충분”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전국 사이버대학들이 교육부의 대학 행·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에서 배제된 데 반발해 오는 2026년부터 지원 대상에 사이버대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교육부에 요구했다. 사이버대들은 20년 넘게 축적한 온라인 교육 노하우를 토대로 소외계층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2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사이버대 총장들을 중심으로 “라이즈 사업에서 사이버대 배제는 형평성과 정책 일관성에 어긋난다”며 “사이버대도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일반대와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총장들은 사이버대가 지난 20여 년간 축적한 온라인 교육 경험을 토대로 소외계층·성인학습자 등 다양한 교육 수요를 충족시켜 온 만큼 라이즈 사업에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사이버대 총장 A씨는 이날 본지 통화에서 “사이버대는 지난 25년간 교육 소외계층에게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해온 대표적 평생교육 기관”이라며 “그럼에도 라이즈 사업에 배제된 것은 형평성과 정책 일관성에 어긋난다. 정부가 내세우는 대학 구조개혁과 지방대 지원 목표가 교육 격차 완화라면 사이버대 역시 제도권 안에서 지원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사이버대 총장 B씨도 “모든 대학들은 교육부의 동일한 조건을 충족해 인가를 받았다. 그런데 명확한 근거도 없이 (라이즈에) 사이버대만 배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라이즈가 지역 일반대 존립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고 해도 사이버대를 배척하는 것은 옳지 않다. 사이버대도 지역 자원을 활용해 오프라인 수업과 실습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이버대 총장 C씨는 “전 세계 교육의 흐름이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 IT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사이버대를 라이즈에서 제외한 것은 소외감을 주는 일”이라며 “규모와 질적으로 향상된 사이버대가 라이즈 등 주요 국책 사업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본지 취재에서 사이버대 총장들은 원격대학들이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지원에 기여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A 총장은 “사이버대는 직장인·고령층·외국인 근로자 등 다양한 학습자를 지원하고 AI·실감형 교육 등 디지털 혁신을 확신할 수 있다”며 “지역대학과 공동 프로그램 운영, 성인 재교육·재취업을 위한 평생직업교육 거점 역할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B 총장은 “지역에도 교육 기회를 누리지 못하는 소외계층이 있다. 사이버대는 이 틈새를 메울 수 있다”며 “20년 넘게 성인학습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온 경험과 노하우를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입장을 담아 사이버대 총장들은 지난 21일 부산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2025 한국원격대학협의회 총장세미나·정기총회’에서 라이즈 참여자격 배제 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총장들은 “사이버대는 정부 재정지원사업에서 차별적 규제를 받고 있는 것”이라며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일반대와 동등하게 평등권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