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전형 경영대, 수능 최저 완화에 경쟁률 전년 대비 2배 상승
학교추천·계열적합전형, 지원자 감소로 경쟁률 전반적 하락세
의과대학 전 전형 경쟁률 감소… “상향 지원 기피 심리 영향”

고려대 전경. (사진=고려대)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지난 10일 마감된 고려대학교 202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에서 전체 경쟁률은 20.35대1로 집계돼 전년도 20.30대1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올해 고려대는 수능 선택과목 제한 폐지와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등 지원자 부담을 줄이는 변화를 시도했지만, 전반적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전체 모집인원은 2703명으로, 전년도 (2680명) 보다 23명 늘었고, 지원인원은 5만5009명으로 609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고려대 2026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 (자료=진학사)

■ 논술전형 경쟁률 상승… 경영대학’ 수능 최저 완화하며 170.58대1 경쟁률 = 지난해 신설된 논술전형의 경쟁률은 전년도 64.88대1에서 71.85대1로 상승했다. 모집인원은 11명 줄어든 350명이었지만, 지원자는 1726명 늘어난 2만5147명이었다. 특히 경영대학 논술전형은 수능최저 기준을 ‘4개 등급 합 5’에서 ‘4개 등급 합 8’로 대폭 완화한 결과, 12명 모집에 2047명이 지원하며 170.58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년도(88.56대1)와 비교하면 두 배 수준이다.

반면, 컴퓨터학과는 모집인원이 2명 줄고 지원자는 412명 감소해 64.56대1로 전년(90.27대1) 대비 가장 큰 폭의 하락을 나타냈다. 최저 경쟁률을 기록한 학과는 28.29대1의 가정교육과다.

■학교추천·종합전형 경쟁률 하락 = 학생부교과전형인 학교추천전형은 경쟁률이 전년 9.12대1에서 6.94대1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학생부종합전형 중 계열적합전형은 15.23대1에서 13.67대1로 하락했고, 학업우수전형은 16.06대1에서 16.77대1로 소폭 상승했다.

학교추천전형의 경쟁률 하락은 교과성적 반영 비율 확대와 등급 간 점수 차이 조정 등 변별력 강화가 영향을 미쳤다. 경쟁률이 큰 폭으로 떨어진 모집단위는 환경생태공학부(22.64→14.18대1), 지구환경과학과(18.25→10.25대1), 보건환경융합과학부(16.17→8.56대1), 의과대학(20.50→12.89대1), 화학과(18.00→11.29대1) 등 순이다. 이들 학과는 모집인원 변동은 없었지만, 지원자 수는 최소 32명부터 최대 138명 감소하며 경쟁률이 크게 떨어졌다. 반대로 경쟁률이 상승한 모집단위는 가정교육과(10.29→25.29대1), 물리학과(8.50→12.50대1), 불어불문학과(7.33→9.17대1), 서어서문학과(8.29→10.00대1), 노어노문학과(7.67→9.33대1) 등 순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계열적합전형도 전반적 하락세를 보였다. 모집단위별로는 언어학과(17.33→12.33대1), 철학과(27.00→22.33대1), 한국사학과(20.67→16.00대1), 식품공학과(18.00→13.80), 화공생명공학과(18.40→14.20대1) 등 순으로 하락했다. 이들 학과 역시 모집인원 변동 없이 지원자 수만 줄며 경쟁률이 떨어졌다. 반면 화학과(16.60→20.8대1), 생명과학부(12.82→15.09대1), 불어불문학과(12.00→13.20대1), 산업경영공학부(13.83→14.67대1), 차세대통신학과(12.00→12.80대1) 등은 지원자 수 증가로 경쟁률이 상승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학업우수자전형은 전반적으로 경쟁률이 올랐다. 지구환경과학과(16.83→27.33대1), 가정교육과(20.29→28.29대1), 바이오의공학부(17.18→24.81대1), 환경생태공학부(26.85→34.08대1), 건축학과(14.13→21.00대1) 등 순이다. 다만 지난해 최고 경쟁률을 보이던 의과대학은 모집인원 1명 감소에 지원자 320명 감소해 경쟁률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경쟁률이 하락한 모집단위는 의과대학(38.84→28.29대1), 통계학과(17.27→13.25대1), 사회학과(15.00→11.33대1), 자유전공학부(19.50→16.05대1), 교육학과(13.40→10.20대1) 등 순이다.

■ 의과대학 전 전형서 경쟁률 하락 = 의과대학은 모든 전형에서 경쟁률이 떨어졌다. 학교추천전형은 20.50대1→12.89대1, 학업우수전형은 38.34→28.29대1로 각각 하락했다. 수능 최저를 적용하지 않는 계열적합전형에서도 28.60 →25.00대로 경쟁률이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수험생들의 상향 지원 기피 심리가 작용한 결과로 풀이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모집 정원이 대폭 축소돼, 최상위권 학생들이 의대 등 상향 지원보다는 안정 지원을 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 같다”고 말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는 학교추천이나 학업우수전형의 경우, 올해 기준을 완화했음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점이 수험생들의 지원 심리를 위축시켰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N수생 감소도 경쟁률 하락을 부추겼을 것”으로 봤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