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A 분석 체계 적용해 발언의 질 정밀 진단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연세대학교 AI혁신연구원(원장 윤동섭 총장)이 교실 토론을 정밀하게 분석해 교사가 학생별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AI 교사 지원 도구를 선보였다.
이번에 공개된 ‘스마트 스터디 엣지AI(S2 Edge AI)’는 AI혁신연구원 산하 AI에듀테크센터 편은진 연구교수가 국립한밭대 SW융합연구소, ㈜시뮬테크, ㈜노탈과 공동 개발한 결과물로 2025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처음 공개됐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SEDA(Scheme for Educational Dialogue Analysis) 대화 분석 체계를 기반으로 학생 발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단순 발언 횟수나 발언 시간 측정을 넘어, 학생이 타인의 의견을 어떻게 발전시키는지, 혹은 단순 동의에 그치는지까지 AI가 판별한다. 교사는 이를 통해 학생별 사고력과 협업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학습자 수준에 맞춘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윤동섭 원장(연세대 총장)은 “이번 연구는 AI가 교실 현장에서 교육 혁신을 실현하는 구체적 방법을 보여준다”며 “단순히 ‘누가 많이 말했나’가 아니라 ‘어떤 질의 대화가 오갔나’를 분석함으로써 진정한 과정 중심 평가로 나아가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시스템은 엣지AI(Edge AI) 방식을 적용해 모든 분석을 학교 내부 서버에서 수행한다. 학생 음성과 토론 내용이 외부로 전송되지 않아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차단했으며,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남주 연세대 AI에듀테크센터장(교육학부 교수)은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겠다”며 “지속적인 산학 협력과 국제 연구 교류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K-에듀테크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연세대 AI혁신연구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AI 단일 연구소로 에듀테크센터를 비롯해 거버넌스안보센터, 기술연구센터, 미래혁신센터, 의료기술센터, 휴머니티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오는 10월 개원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혁신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