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 대학별 지역인재 7급 추천 인원 기준 개선 등 ‘통합인사지침’ 일부 개정·시행
대학입학정원 구간 기준 완화… 기존 1000명 당 1명→500명 당 1명씩 추가 추천 가능
전문가 “대학별 추천 형평성 등 제고, 학생 공직 도전 의지↑, 지역발전 등 도움될 것”
[한국대학신문 임연서 기자]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에서 대학별로 추천할 수 있는 인원이 확대된다. 정부에서 대학입학정원 구간을 나눠, 추천 가능 인원을 세분화한 것이다.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추천채용제는 우수한 학업성적을 가진, 학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대학 졸업(예정)자를 추천·시험을 통해 선발하고, 일정 기간동안 수습 근무를 거친 뒤 공무원으로 임용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교육계 등에서는 이러한 지침을 통해 우수한 인재의 공직 진출 기회가 더욱 확대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나온다.
7일 교육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대학별로 추천할 수 있는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인원이 입학정원에 비례해 늘어난다. 인사혁신처가 최근 발표한 내용을 보면, 오는 2026년부터 시행되는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에서 대학별 입학정원 구간을 1000명에서 500명 단위로 조정해, 500명마다 1명씩 추가로 추천이 가능하다.
그동안 대학입학정원이 3000명을 넘어도 최대 12명까지 추천할 수 있었으나, △500명 이하 최대 8명 △1000명 이하 9명 △1500명 이하 11명 등 대학입학정원별로 인원을 추천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소규모 대학의 추천 기회를 유지하고자, 입학정원 500명 이하 대학은 기존대로 최대 8명까지 추천이 가능하다. 해당 내용은 오는 12월 예정된 지역인재 7급 모집공고에 포함돼, 내년 선발시험부터 적용된다.
해당 지침을 개선하게 된 배경으로는 지역의 우수한 인재들을 더욱 많이 선발하는 데 있다. 인사처 관계자는 “지역인재를 추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전국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추천인원 기준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지침이 대학에서 우수한 인재들을 더 많이 추천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공직 진출 기회에 대한 도전 의지 등을 심어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입장이다. 입학정원별로 구간을 나눠 추천할 수 있는 학생 규모가 늘어나면, 학생 선발 등 절차에서 경쟁률이 완화될 수 있고 공무원 등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을 위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구경북권 사립대 행정학과 교수 A씨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대학 입장에서는 우수한 학생들을 대학입학정원별로 구간을 나눠 더욱 많이 추천할 수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대학 내에서도 인원을 선별해 학생을 추천하는데, 인원 구간별로 추천이 가능해진다면 학생 선발 등에 있어서 경쟁률 등이 완화돼 학생들이 공직 진출에 대한 의지를 더욱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해당 지침이 지역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같은 지침이 학생들의 지역 정주를 이끌고, 더 나아가 지역을 위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다.
A씨는 “지방에 있는 학생들은 해당 지역에 일자리 등이 부족해,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해당 지침은 지역인재를 확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학생들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고, 지역을 위해 봉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개정된 지침이 대학의 입학정원별로 학생을 추천하는 데 있어서 대학별 형평성을 제고하고, 통합 등으로 인해 추천이 가능한 인원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를 해소하는 데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용수 인사처 차장은 “개정된 지침은 대학 규모에 따른 추천 형평성을 높이고, 대학 통합으로 인한 추천 인원 감소에 대한 우려를 미리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