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DI 브리프 23호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인구절벽 위기 극복의 가능성과 향후 과제’
10년간 학위과정생 수도권 대학 15.5% 증가… 비수도권 대학 감소, 비학위과정생만 5.9% 증가
“입학 문턱 낮은 비수도권 어학원 수료 후 수도권 편입… 지자체 차원 유학생 지원 강화 필요”
[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정부가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 유치를 목표로 내세운 ‘스터디 코리아 300K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가운데, 전국 대학가에서는 유학생 확보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만8000명으로, 2007년 대비 4.2배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학위과정생은 14만5778명, 비학위과정생은 6만3184명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지역 정주의 핵심으로 꼽히는 ‘학위과정생’ 증가가 비수도권 대학에서는 미미해, 지역 정주 전략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최근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인구절벽 위기 극복의 가능성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한 KEDI 브리프 23호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KEDI 교육통계서비스의 연도별 국내 외국인 현황을 토대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학위과정별 외국인 유학생 분포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2014년 대비 2024년 학위과정생은 4년제 수도권 대학 1.7% 증가, 수도권 전문대학 13.8% 증가했다. 하지만 4년제 비수도권 대학은 1.7%, 비수도권 전문대학은 13.8% 감소했다. 오히려 비학위과정생은 비수도권 대학에서 5.9% 증가했다.
최정윤 KEDI 선임연구원은 “지역에서 외국인 유학생 수가 늘어나도 이들이 해당 대학 및 지역에 머무는 기간이 짧다는 것을 의미해 지역정주 측면에서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며 “최근 입학 문턱이 낮은 비수도권 대학의 어학연수과정을 기착지로 활용한 뒤, 일자리·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수도권 소재 대학으로 편입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했다.
KEDI가 작년 10월 일반대학 6개교, 전문대학 4개교에 재학 중인 700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파일럿 설문조사에서도, 한국 취업 계획을 밝힌 응답자의 60% 이상은 졸업 대학 소재지와 관계없이 서울에서 취업하기를 희망했다. 최 선임연구원은 “취업 희망지로서 서울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면서도 “부산, 대구 등 일부 지역에서 지역정주 응답률은 다소 높게 나타나, 지역의 노동시장 및 정주 여건이 개선될 경우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정주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도 있다”고 했다.
최 연구원은 이어 지역정주와 산업인력 확보에서 성과를 거두기 위한 유치-학업-취업-정주 단계별 특성 분석에 기반한 정책진단 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그는 “단순히 유학생 수 증가에만 집착해서는 안 되며, 외국인 유학생 특성 심층분석→유학생 정책의 주기적 목표 점검→개선과제 도출의 실증 정보를 기반으로 정책진단 체계를 구축하는 세밀한 전략 설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지역 경제·산업 발전계획과 연계된 중장기 인력수급 계획 수립과 지자체 차원의 맞춤형 유학생 지원 강화가 요구되며, 유치 단계에 편중된 지원에서 벗어나 생활여건 개선과 취업 연계 등 실질적 정주 지원에 무게를 두는 정책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