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후보들은 고등교육 정책에 대해 다소 원론적인 공약을 내세우고 있지만 대학 당국자들과 학생·학부모들은 재정적인 공약 사항을 중심으로 다소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미 대선에서 고등교육 문제는 그 동안 관심 밖의 문제였다. 그러나 유권자들의 움직임을 선거 당일까지 주시해야 하는 후보들에게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분야이기도 하다.
각 후보들은 대학의 △등록금 문제 △소수민족 차별 철폐와 여성고용 확대문제 △연방정부의 재정지원 확대 문제 등 다양한 공약을 제시했다.
공화당의 존 멕케인(John McCain) 후보는 대학에 대한 세금감면 혜택을 제한하는 안을 내 놓았다. 이에 대해 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이 갖는 수익률을 예로 들며 '황금거위'를 죽이는 정책이라는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그래서 그는 경쟁자인 부시 주지사와 민주당의 고어 후보 등과 함께 연방 정부의 학생 재정지원과 연구개발비 증액 안을 +발표해 진화에 나서고 있다.
멕케인 후보와 경합을 벌이고 있는 부시(Bush) 후보는 현재 미 대학 등록금이 천정부지로 올라 있다며 피교육자에 대한 재정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그는 "지난 20년간 2백% 가까이 오른 등록금은 납득할 수 없는 수치"라며 "만일 당선될 경우 나는 미국 가정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해 학생들을 위한 재정 지원과 장학금 규모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클린턴 행정부에서 그 동안 고등교육 정책에 대해 많은 노하우를 쌓아온 엘 고어(Al Gore) 민주당 후보는 "다른 후보가 제시한 것보다 훨씬 큰 대학 지원정책을 갖고 있다"며 "국가적 차원의 등록금 예금 정책(National Tuition Saving plan)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그가 제시한 등록금 예금 정책이란 대학 등록금 마련을 위한 저축을 할 +경우 개인과 기업 고용인에게 세금 면제 혜택을 주는 것을 말한다. 현재 +이 제도는 미국 30개 주에 걸쳐 시행중인 가족단위 세금감면 투자정책과 연계해 운영할 방침이다.
멕케인, 부시, 고어보다 다소 적은 지지를 얻고 있는 민주당의 빌 브래들리(Bill Bradley) 후보는 2백억달러 규모의 지방대학 재정 지원안을 내 놓았다.
그는 "이 예산을 바탕으로 지방 대학이 직업 훈련과 사회교육의 중심이 되게 하겠다"고 말했다.
후보 사퇴 압력까지 받고 있는 앨런 키스(Alan Keyes) 전 유엔 경제이사회 대사는 등록금 문제와 대학 재정 지원에 대해 별다른 공약을 내 놓지 않고 있다.
각 후보의 이런 공약에 대해 세라 플라나건(Sarah Planagan) 미 대학연합 로비스트는 "대학 재정지원 정책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며 내실 없는 공약이 될 것을 우려했다.
대학에 대한 각 후보간의 부정적인 공약은 선거전에서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해 당사자로부터 돌아오는 비난은 대단했다는 것이 현지언론들의 관측이다. 따라서 이들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대학에'아부'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비난도 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