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웨비나 콘퍼런스’ 세션2 토론
[한국대학신문 장혜승 기자] 교육 혁신의 목표는 결국 수요자인 학생의 성장이다.
25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제5회 혁신 Webinar 콘퍼런스’ 토론 참석자들은 교육 혁신의 주체는 수요자인 학생이고 학생의 성장이 그 결과물이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학생의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기존 교육의 장점도 버리지 말고 학생의 능력을 얼마나 개발했는지 투입 결과에 대한 관찰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노성여 동명대 두잉교육센터장은 수요자 입장에서 동기부여를 이끌어내는 교육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센터장은 “지금까지 발표자들이 교육자의 입장에서 교육 혁신을 말했다면 수요자의 입장에서 말해보고 싶다”고 운을 뗐다. 그는 드론 사업으로 유명한 사람이 TV에 나와서 “드론에 미쳐 있다”고 말한 것을 두고 수요자에 대한 동기 부여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또 “그동안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 방법을 고민하며 교육과정을 만들 때 과연 수요자들의 의견이 얼마만큼 반영됐는지 궁금하다”고 반문했다.
꺼내는 교육에서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결과도 학생의 성장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봤다. 노 센터장은 “학생 개개인에게 교수자가 줄 수 있는 상호작용의 크기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며 “모든 학생이 평가에서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현재 학생 상태에서 더 발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교육 혁신의 기반은 기존 교육의 장점을 유지하는 것이라는 데에도 토론자들은 합의했다. 이혜정 소장은 “꺼내는 교육의 바탕은 ‘잘 집어넣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대학들이 교육 혁신을 시도하다 실패하는 유형 중 하나가 꺼내는 교육을 강조하다 기본 지식을 집어넣지 않고 꺼내려 한다는 뜻이다. 그는 “무엇을 할 수 있느냐의 기저에는 반드시 지식이 기반돼야 한다. 앎을 소홀히 해선 안된다고 강조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용운 경남대 교육혁신본부장도 “전체적으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추구해야 하는 건 맞지만 기존 교육의 장점도 잘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탰다. 김 본부장에 따르면 경남대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전면 시행하기보다 한 학기에 두 과목 정도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운영하고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센터를 개설하는 식의 점진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교육 혁신을 실현하기 위해 교수자들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는 점도 제시됐다. 김 본부장은 “교육의 주체는 교수인데 교수들의 인식은 그대로”라며 “지금까지 위기감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교수들이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학생들의 불만이 없었고 신입생 충원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뜻이다. 이 소장도 “교수들이 위기감을 느끼지 못하는 현상은 경남대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도 마찬가지”라며 애리조나주립대의 사례를 언급했다. 이 소장에 따르면 애리조나주립대도 2008년 금융위기 때 대학이 생존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 교수들이 공감하고 나서야 혁신의 시동을 걸 수 있었다. 이 소장은 “애리조나주립대는 보직 교수뿐만 아니라 평교수들에게도 학교의 미션과 방향을 교육하는 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해 학교의 문제를 발굴할 수 있었다”고 짚었다.
학령인구 감소 상황에서 교육 혁신을 당장 실현하기에는 일부 지역 사립대의 어려움에 대한 공감대도 형성됐다. 노 센터장은 지역 사립대의 고민을 해결해보려는 동명대의 교육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지방 사립대는 현재 학생 충원에서 발굴이 아니라 모집의 개념으로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모집이든 발굴이든 동명대는 학생의 성장에 초점을 맞춰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 고민하다 교육혁신 실험방법으로 ‘두잉(Do-ing)’이라는 교육철학을 동명대 총장이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동명대는 2022학년도부터 ‘3무(무학년-무학점-무티칭)’를 골자로 하는 ‘두잉(Do-ing) 학부’를 출범한다. 노 센터장에 따르면 두잉학부는 학생 스스로가 지식을 쌓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역량을 한껏 발휘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김 본부장도 “서울대는 국제경쟁력을 고민할지 모르지만 당장 국내경쟁력 강화도 힘든 대학이 적지 않은 상황”이라고 힘을 보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