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인제대 등 복귀 의사 밝힌 학생 ‘블랙리스트’ 유포…일부 학생 복학 포기
22일 경찰청에 수사 의뢰…서울청 사이버수사과 “현재 2명 구속, 30명 불구속 송치”
전국 40개 의과대학에 “학생 적극 보호 및 가해 학생 엄정 조치” 당부

서울대에 이어 연세대도 의대생 복귀가 시작됐다. 연이은 의대생 복귀로 타 의대들도 학생들의 복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신문 DB)
교육부가 의대생의 수업 복귀 관련 피해사례를 접수하고 22일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다. 또한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1개교 포함)에는 학습권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 학생을 적극적으로 보호함은 물론 가해 학생들을 학칙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것을 당부했다. (사진=한국대학신문 DB)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교육부가 의대생의 수업 복귀 관련 피해사례를 접수하고 22일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다. 또한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1개교 포함)에는 학습권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 학생을 적극적으로 보호함은 물론 가해 학생들을 학칙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것을 당부했다.

앞서 의사 커뮤니티에는 개강 첫날 수업에 복귀한 서울대 의과대학 3·4학년 학생 70여 명의 실명이 적힌 ‘블랙리스트’가 공유되면서 인신공격 등 피해가 잇따랐다. 또한 복학 의사를 보인 인제대 의대생에 대한 블랙리스트도 유포돼 일부 학생은 복학을 포기하기도 했다.

이에 교육부는 ‘메디스태프’ 등 온라인에 서울대, 인제대에서 수업 복귀 의사를 밝히거나 실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신상이 유포되는 피해사례가 접수돼 22일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하고 엄정하게 수사해 줄 것을 요청했다.

수사 의뢰를 접수한 서울청 사이버수사과는 “2024년 6월부터 9월 사이 온라인상 복귀 의료인 집단 괴롭힘 사건에 대해 현재까지 2명을 구속하고 30명을 불구속 송치했다”며 “최근 특정 커뮤니티 내 수업 복귀 의대생 리스트를 포함해 복귀 의료인에 대한 온라인상 집단 괴롭힘에 대해서도 계속 엄정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교육부는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1개교 포함)에 수업 복귀를 희망하거나 복귀한 학생의 명단을 유포 또는 수업에 참여하지 말 것을 강요·협박하는 등 학습권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 학생을 적극적으로 보호함은 물론 가해 학생들을 학칙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것을 당부했다”며 “수업 복귀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안내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