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의대생 미복귀, 한국 의료 시스템 붕괴로 이어져…우려 목소리 커
KAMC, 의대생 복귀 호소…“정상적인 학사 이뤄져야 학생 피해 최소화 가능”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의대 증원 반대를 이유로 동맹휴학에 나섰던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전국 의대 학장들이 “1년 더 반복하면 사회와 여러분이 치러야 할 댓가가 너무 크다”며 의대생에 복귀를 호소하고 나섰다.
의대 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3일 ‘전국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이 학생들에게 보내는 서신’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4개교를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의대가 개강했지만 25학번 신입생을 제외한 의대생 96% 이상은 휴학 의사를 밝힌 상태다. 이에 전공의와 의대생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한국의 의료 시스템이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의대 학장들은 “2024년에 시작된 의과대학 정원 증원 사태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1년을 보냈다”며 “이미 초래된 1년 간의 의사양성 중지는 향후 우리 의료계에 많은 부작용으로 드러날 것이다. 이를 1년 더 반복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와 여러분이 치러야 할 댓가가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KAMC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해 8월부터 공식·비공식 간담회 등을 통해 정부·국회·의료계·교육계와 소통해왔다. 2월 24일에는 정부에 공문으로 △2026년 의과대학 모집인원 3058명으로 재설정 △2027년 이후 의대 총정원, 의료계와 합의해 구성한 추계위원회에서 결정 △의학교육 질 유지 및 향상 위해 교육부의 의학교육 관련 제도, 행정, 재정에 대한 전폭적 지원 등을 요구한 바 있다.
학장들은 “상황이 무조건 낙관적이지 않지만 학생들이 돌아올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의대협회는 노력하고 있다”며 “올해는 정상적인 학사가 이뤄져야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정부와 국민을 설득할 수 있다. 2025학년 1학기에 학생들이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들은 “24, 25학번의 교육뿐 아니라 의대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 교육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것”이라며 “지난 1년 간의 여러분의 희생이 절대 헛되지 않도록 의대협회가 정부를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의대 학장의 설득에도 의대생이 돌아올 지는 미지수다. 의료계에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의견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지만, 정부는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의료 정상화를 위한 구조 개혁을 멈추지 않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5일 진행된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민간위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의대 증원에 반대한 전공의와 의대생의 집단행동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면서도 “갈등과 여러 쟁점을 이유로 20~30년 가까이 미뤄 온 개혁 논의를 또다시 미룬다면 이 또한 정부의 직무유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해 정부-의료계의 갈등은 쉽사리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