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지사 “2026학년도 의대 신설 사실상 힘들어”
2027학년도 개교 목표… “새 정부와도 노력할 것”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서울 국회에서 열린 ‘전라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과대학 설립 국회 대토론회 및 결의대회’에서 토론회를 마치고 주요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서울 국회에서 열린 ‘전라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과대학 설립 국회 대토론회 및 결의대회’에서 토론회를 마치고 주요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한국대학신문 김소현 기자] 2026년 개교를 목표로 추진해 온 전남 지역 국립의과대학 신설이 사실상 무산됐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14일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2026학년도 의대 신설과 정원 배정은 사실상 힘들다”며 “새 정부 출범 후 2027학년도 개교를 목표로 전략 수정에 나섰다”고 밝혔다.

전남 지역은 지역 발전을 선도하는 대규모 거점국립대와 의대가 부재하다는 인식 아래 2026년 개교를 목표로 의대 설립을 추진해 온 바 있다.

전남은 의사 없는 유인도 전국 최다, 가장 많은 중증응급·외상환자 유출률 등 여러 지표에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열악한 환경을 갖춘 지역이다. 이에 국립목포대와 국립순천대의 통합을 토대로 의대 설립에 나섰으나, 정부가 올해 의대 정원을 동결하기로 발표하면서 의대 설립에 빨간불이 켜졌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정부의 의대 정원 3058명 동결 방침에 서운함을 금할 수 없다”면서도 “정부도 상당히 공감하는 분위기다. 의료계와 대타협을 통해 협의를 원만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달 송하철 국립목포대 총장과 함께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만나 의대 증원과는 별개로 전남도 국립의대 신설 방침 결정과 정원 배정을 최우선으로 추진해 줄 것을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교육부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의대 모집인원 동결을 수용하면서 올해 의대 신설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왔다.

김 지사는 “새 정부에서도 추계위를 통해 2027학년도에 의대 신설과 신입생 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