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대표 강사, 영역별 출제 경향 분석…“적정한 난이도”
적정한 정보량과 복잡하지 않은 구조 지문 출제…‘킬러문항’ 배제
EBS 연계율 50% 이상…“충실히 학습한 수험생 큰 도움됐을 것”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3일 실시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9월 모의평가 국어영역은 수험생들이 2025학년도 수능과 유사하지만 지난 6월 모의평가보다는 다소 어렵게 느꼈을 것으로 분석됐다. 소위 ‘킬러문항’ 배제 방침에 따라 공교육 내에서 출제됐으며, 적정 난이도와 변별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9월 모의평가 국어영역을 분석한 한병훈 충남덕산고 교사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EBS 수능 연계교재의 제재, 작품, 핵심 개념, 문항 유형 등을 활용해 출제했다”며 “수험생들의 시험 준비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고자 하는 원칙을 충실히 구현했다”고 분석했다.
9월 모평의 난이도는 작년 수능과 유사하고 지난 6월 모의평가보다는 다소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평가했다. 한 교사는 “지문의 정보량의 적정하고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문항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지문에서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며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이나 개념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변별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의 문항을 고루 출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모평에서는 내용 간의 관계에 주목해 읽기 방법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문항과 어휘의 의미를 복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지를 문항 등 교육과정의 본질에 더욱 부합하는 시도를 선보였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EBS 수능 연계율은 50% 이상 확보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 교사는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다뤘던 제재나 작품, 핵심 개념, 문항 유형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됐다”며 독서에서는 <보기>와 과학‧기술 2개 지문, 문학에서는 고전 소설과 현대시 1작품, 고전시가 2작품 등이 연계돼 출제됐다고 설명했다.
한 교사는 “이번 9월 모의평가는 작년 수능과 지난 6월 모의평가의 출제 경향을 유지하고,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인 논리적 사고력과 어휘력을 평가하려는 교육적 의도가 뚜렷하게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을 충실히 학습하고 EBS 수능 연계교재를 통해 수능 문항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이 안정적인 수능 대비에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