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대-홍성문화원, ‘라이즈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지자체-대학 협약 기반 자율형 지역현안 해결 등 협업 추진
“지역산업 및 청년 정주 등 실질적 라이즈 성과 거둘 것”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올해부터 향후 5년간 ‘혈세’ 2조 원 이상이 투입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RISE, 이하 라이즈)’가 전국 17곳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본격 시행된다.
기존 중앙 중심 고등교육지원 관련 행‧재정적 권한을 지자체 등 지역사회로 내려보내며 인구절벽 위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심화에 전면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정주율 향상’ 등 목표 달성을 통해 대학과 지역의 생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지역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가 라이즈 주체로 크게 부각된다는 사실이다. 기존 중앙으로부터의 대학재정지원 관련 행정이 여러 한계에 부딪힌 가운데, 이 같은 사실을 인식하고 지역으로 권한이 넘어갔다. 결국 해당 지역의 어려움을 더욱 세밀하게 집중적으로 파악해 해소할 가능성 또한 높아진 셈이다.
이런 관점에서 광역은 물론, 기초지자체의 라이즈 동참 여부는 매우 중요하다. 기초지자체와 지역대학의 협력은 그 과정을 통해 현장 가장 일선으로부터의 의견 수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대학신문은 이에 초점을 맞춰 라이즈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최일선 지역사회의 협업 관련 보도를 이어갈 방침이다. <편집자주>
충청남도(지사 김태흠, 이하 충남도)는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현안 해소 및 지역사회-대학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하는 이른바 ‘충남형 라이즈’를 추진 중인 가운데, 최근 지역대학과 공공기관 간 협업 사례가 나와 관심을 끈다. 특히 대학의 풍부한 자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전략이 추진될 전망이다.
12일 청운대학교에 따르면 최근 청운대는 홍성문화원과 라이즈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자원을 연계, △지자체-대학 협약 기반 자율형 지역현안 해결 △지역사회 서비스 고도화 △외국인 유학생 정주지원 및 한류문화콘텐츠 창출 △청년 로컬활동 생태계 조성 등 목표를 추진한다.
특히 청운대-홍성문화원은 △라이즈 관련 공동사업 추진 및 상호지원 △식품산업의 가치 보존을 위한 전통 지식·자원 기록화와 푸드테크 상품 개발 △홍성문화원 회원 대상 DX미디어센터 이용 및 디지털전환 교육 협력 △문화예술·복지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지역정주형 전문가 양성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역-대학 동반 성장형 유학생 유치·정주 지원 및 지역문화 학습을 통한 한류문화콘텐츠 창출 등에 대해서도 협력한다.
청운대 RISE사업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문화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지역대학의 혁신 성과를 지역사회로 확산하고, 지역민과 함께 성장하는 RISE 모델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최승묵 청운대 RISE사업단장은 “이번 협약은 대학과 지역 문화기관의 힘을 모아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뜻깊은 계기”라며 “홍성문화원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민의 문화복지 향상은 물론, 지역산업과 청년의 정주를 아우르는 실질적 라이즈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들 기관이 속한 충남도는 라이즈 기반 지역현안 해소 과제를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올해 도내 기초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 가운데, 지역 15곳 기초지자체와 32개 대학별 과제 구성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홍성군은 △푸드테크 DX(청운대) △스마트팜(혜전대 주관-연암대 참여) 등 라이즈 연계 과제를 추진 중이다.
충남형 라이즈는 ‘새로운 도약을 위한 담대한 개혁과 혁신’을 비전으로 삼고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 △지역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고등교육 체제 전환 △지역공동체 강화 등 4대 프로젝트를 중점 추진한다. 17개 하부과제 추진을 통해 성과를 구체화한다.
세부과제를 살펴보면, △신성장동력산업 선도인재양성 △시장지향형 대학R&D 혁신역량 강화 기반 조성 △신성장동력산업 분야 기술창업 경쟁력 지원 △대학특성화 기반 지산학연 상생협력 인프라 고도화 △K16(초중고-대학) 지역완결형 인재 양성 △로컬 정주형 창업지원체계 구축 및 고도화 △지역 취업 보장형 계약학과 운영 △대학 간 경계를 허무는 충남형 대학혁신체계 구축 △지역산업 맞춤형 직업교육 허브대학 육성 △생애주기별 직업교육체계 구축 △지역자원 기반 덕업일치 평생교육 특화 △대학 연계 사회서비스 고도화 △늘봄학교 고도화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탄소중립 활성화 지원 △청년 로컬 활동 생태계 조성 및 로컬혁신인재 양성 △기초지자체-대학 협약 기반 지역 현안 해결 등으로 구성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