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행’ 최근 5년 교육부 승인 받은 곳만 8개 대학
지자체 "생존권 박탈” 반발에 대학들 “우리도 살아야”

[한국대학신문 송보배 기자] 생존을 위한 지방대학의 수도권행이 물살을 타고 있다.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특별법’ 발효 이후 최근 5년 동안 교육부 위치변경계획승인 또는 인가를 받은 곳만 8곳에 이른다. △경동대 △동양대 △예원예술대 △을지대 △중부대 △청운대 △침례신학대 △한려대 등이 여기 포함된다.

지난해 전북의 예원예술대가 경기 양주로 이전한데 이어 올해는 충남 금산의 중부대가 경기 고양캠퍼스를 개교했다. 대전의 을지대는 의정부, 경북 영주의 동양대는 동두천, 전남의 한려대는 경기 파주에 각각 캠퍼스 설립을 추진 중이다.

아직 교육부 승인을 거치지 않았으나 전북의 원광대, 충북의 세명대도 경기도에 제2캠퍼스 설립을 추진하고 있어 지방대학의 수도권행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방대 수도권 이전의 배경에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위기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지역 인구의 급감이 지방대의 수도권행을 부추기고 있다.

강희성 호원대 총장(전북지역대학총장협의회장)은 “한때 290만까지 갔던 전라도 인구가 현재 170만명으로 줄었다. 18만명이던 부안 인구는 현재 4만명이 됐다”며 “지역 산업기반이 바로 대학의 취업률과 연계되는데 지역은 이런 기반도 매우 취약한 실정”이라고 전했다.

교육부 역시 이런 상황을 모르는 바 아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역 경제가 낙후되니 지역인재가 지역을 떠나고 그로 인해 지방대학의 학생충원이 되지 않는 악순환 구조가 지역에 형성돼 있다”고 우려했다.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에 따른 지역의 위기감도 점차 커져가고 있다. 실제 금산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중부대가 고양캠퍼스로 이전한 뒤 금산캠퍼스 주변 월세‧원룸 입주 학생이 기존 4000명에서 2000명으로 크게 줄었다. 세명대 주변 원룸가 역시 세명대가 이전하면 공실률이 90%까지 치솟을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이근규 제천시장 등에 따르면 세명대가 제천시 지역 경제에 차지하는 비율은 30%에 달한다.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이 지역경제를 위태롭게 만들 것이란 전망이다.

지역에서는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을 원천차단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에 분투하고 있다. 지난달 17일 박수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과 이근규 제천시장 등은 국회에서 범국민토론회를 개최, 여론몰이에 나섰다. 이인제 새누리당 최고위원 등은 이날 기존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에서 지방대 수도권 이전을 제한한 ‘개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제천주민 700명 △금산주민 200명 △영주주민 200명 등 주민 1000여 명도 버스를 대절해 범국민토론회에 참가했다. 각종 국가시설과 기업이 밀집한 수도권에서 지방의 대학마저 뺏어가야 하겠느냐는 원성이 이날 쏟아졌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의 우려에도 불구, 수도권행은 불가피하다는 게 지방대의 변이다. 김운회 동양대 교수(국제통상영어과)는 “지방대가 계속 지방에 남으면 결국 고사를 면할 수 없다”며 “일부라도 수도권에 이전해 살길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 지방대가 살아야 지역 상생도 가능한 것”이라 말했다. 김 교수는 “동양대의 경우 수도권 접근성에 민감한 일부 계열만 이전하는 등 실제 이전으로 인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우려만큼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