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즈 참여대학-창조경제혁신센터 ‘맞손’
‘지역 연결하는 창업 플랫폼’ 공유 협업 등
“실질적인 지역혁신 사례 될 것으로 기대”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경남도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이하 라이즈)’의 일환으로, 지역대학과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손잡고 지역 청년 창업 활성화와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 협업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한다.
■ 교육과 실전 잇는 창업 사다리 조성 = 9일 경남도에 따르면 경남 라이즈에 참여하는 경상국립대학교, 국립창원대학교, 경남대학교, 인제대학교 등 경남권 16개 대학은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학연합 콘(CORN) 경진대회, 찾아가는 창업 토크 등 8개 공유·협업형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운영해 대학생들에게 제공한다.
먼저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가 주관하는 ‘대학연합 콘 경진대회’에 16개 대학의 창업동아리들이 공동으로 참가한다. ‘콘CORN’(Collage Of RISE Network)은 각 대학의 창업 역량을 하나의 무대로 연결하겠다는 의미로, 대학 간 벽을 허물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인재들이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학생들은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의 고객지향 창업방법론 실습 교육인 ‘CORN 프로젝트’를 들은 후 경진대회에 참가한다.
대학이 주관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협업하는 ‘찾아가는 창업토크’도 수시 개최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대학교로 직접 찾아가 청년들의 창업 경험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창업 조언을 제공하는 쌍방향 소통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 경남도는 라이즈를 통해 대학이 창업교육과 육성(인큐베이팅) 단계에서 대학생 인재를 육성하고,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는 공동 교육과 졸업 이후 실전 창업을 지속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대학은 창업 마인드 형성과 조직 강화(팀 빌딩),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창업 전단계 교육과정과 예비창업 경험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며, 창업 기초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경진대회 우수 팀을 대상으로 멘토링·투자 연계·사업화 기획 등 실질적인 후속 지원을 담당하며, 예비창업자들이 졸업 이후에도 창업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단계별 연계 지원도 맡는다.
이러한 역할 분담을 통해 교육과 실전을 잇는 창업 사다리를 만듦으로써 학생 창업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지역 창업 생태계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경남도는 라이즈를 통해 지역혁신기관과 대학 연계를 통해 창업을 기점으로 연구, 취업, 지역 문제해결 등 대학생들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경남도 하정수 대학협력과장은 “이번 협업은 라이즈 참여대학의 역량과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네트워크가 결합한 실질적인 지역혁신 사례가 될 것”이라며 “청년 창업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 지역 발전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지역혁신의 중심, 대학이 선도한다] 라이즈(RISE) 참여대학 ‘경남도’ 편
- 경남도, 라이즈(RISE) 참여대학 선정…프로젝트별 19곳 확정
- 경남도, 모든 연령 맞춤형 교육지원 강화…라이즈(RISE) 연계 지역정주인재 4천명 육성
- 경남도, 라이즈(RISE) 2차 공모… “AI 등 신(新)산업 인재 육성”
- 경남도, 고교부터 ‘미래車 인재양성’ 체계 구축… 라이즈(RISE) 연계 강화
- 경남 라이즈(RISE), 141억원 추가 투입… 신(新)산업‧연구개발 인재양성 지원
- 최은옥 교육부 차관, 경남라이즈(RISE)위원회 간담회… “적극 지원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