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차원의 지역라이즈위원회 전국 순회
경북도, ‘범부처 연계사업 지원’ 등 필요성 제기
라이즈 안착 위한 중앙-지역 소통 지속

지난 13일 국립경국대에서 중앙-경북라이즈위원회 현장 간담회가 진행된 가운데,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북도)
지난 13일 국립경국대에서 중앙-경북라이즈위원회 현장 간담회가 진행된 가운데,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북도)

[한국대학신문 김영식 기자] 올해 본격 추진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이하 라이즈)’ 안착을 위한 중앙과 지역간 소통 작업이 지속되고 있다. 중앙라이즈위원회‧센터 등은 지난 2월부터 전국 17곳 광역지자체 산하 라이즈위원회를 순회 중인 가운데 이번에는 경북도를 찾아 지역 의견을 청취했다.

■ “경북 라이즈 시작…협력과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14일 경북도(도지사 이철우)에 따르면 경북라이즈위원회는 전날 국립경국대학교에서 ‘중앙-경북라이즈위원회 현장간담회’를 열었다.

중앙라이즈위원회는 교육부의 라이즈 정책 추진을 위한 법령·규제 개선, 재정·성과관리 등에 대한 논의‧자문 등을 수행하는 기구다. 이번 간담회에는 김헌영 위원장과 분과별 위원, 교육부 관계자를 비롯해 김봉문 중앙라이즈센터장 등 총 12명이 참석했다.

경북도에서는 경북라이즈공동위원장인 정태주 국립경국대 총장과 곽호상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총장 등 경북라이즈위원과 대학 관계자 등 1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경북형 라이즈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현장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경북도는 라이즈 추진 과정에서 ‘범부처 연계사업’ 강화를 위한 운영 매뉴얼 지원과 연계 과정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더욱 실효성 있는 정책 실행을 위한 의견을 적극 개진했다.

범부처 연계사업은 라이즈를 통해 교육부뿐 아니라 중소벤처기업부‧고용노동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중앙정부 차원의 협력을 통한 지역혁신을 목표로 한다. 라이즈의 궁극적 목표 중 하나로 ‘지역정주 인재 양성’이 제기된 가운데 대학과 지역기업의 협력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과제 추진 과정에서 범부처 차원의 적극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이는 교육부에서도 권장하고 있는 사안으로, 앞서 교육부는 지원 전략에서 “학교 유형‧규모 등을 고려해 지역대학이 잘할 수 있는 과제 마련을 위해 전문대-일반대 상생모델 등을 제시하고, 산업 발전·정주여건 개선 등 범부처와 지자체의 다양한 사업·제도·정책을 밀접하게 연계해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중앙라이즈센터 차원에서도 관련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 센터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중앙라이즈센터는 크게 6개 부분의 업무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 중 하나로 ‘범부처 대학재정지원사업의 라이즈 연계방안 기획’을 추진해 지역 라이즈 주체들에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특히 라이즈를 통해 지역‧필수의료 인력 양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보건복지부와 지역 의대-병원이 협력해 ‘지역 인재의 의대 입학→지역에서의 교육·수련→지역 정주 의사로의 성장’ 등 선순환 체계 확립을 위해 노력한다.

또한 중앙정부의 정책 기조에 맞춰 지역인재육성지원 사업과 연계해, 지역인재전형 특화모델 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경북도는 지역 내 실습교육 확대 등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을 강화해 학생들이 학부 단계부터 지역의료에 대한 경험을 쌓도록 지원해 나간다.

정성현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경북의 미래,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경북 라이즈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면서 “대학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지역산업과 협력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 경북도는 대학과 함께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혁신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