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28주년 기념 대학생 의식조사 ②정치·사회의식]

신뢰 집단 ‘대학생’,  불신 집단 ‘정치인’
개선해야 할 정책, 경제 〉산업·복지 순

[한국대학신문 특별기획팀] 한국대학신문은 매년 1015일 창간기념일을 맞아 전국 대학생 의식 조사 및 기업이미지·상품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한다. 창간 28주년인 올해는 지난 820일부터 910일까지 한국대학신문(www.unn.net)과 캠퍼스라이프(www.campuslife.co.kr) 온라인 홈페이지, 이메일을 통해 진행해 1396명이 응답했다. 조사는 사회·생활·정치·취업 등을 포함한 의식조사와 기업이미지·상품선호도·언론선호도 조사를 망라해 이뤄졌다. 분석 결과의 신뢰 수준은 95%, 최대 오차는 ±2.7%포인트다.편집자주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 = 대학생들은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로 빈부격차 해소와 부정부패 척결을 꼽았다. 응답자 30.6%, 30.4%가 가장 해결이 시급한 문제로 각각 이 두 가지를 지적했다. 이는 대학생들이 빈부격차 해소와 부정부패 척결 문제를 경중을 가릴 수 없는 우리 사회의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성장과 정치안정은 각각 10.8%와 10.0%에 그쳐 경제나 정치 문제보다 양극화와 부정부패 문제로 인해 우리 사회가 멍들고 있다는 점을 더 심각하게 보는 것으로 해석된다.

빈부격차 해소를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꼽은 응답자는 권역별로 강원권(40.0%)에서 가장 많아 양극화에 대한 문제의식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부패 척결을 지목한 응답자는 전라·제주권(33.3%)에서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27.0%)보다 여학생(32.2%)이, 계열별로 자연공학계열(32.8%)에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성장이라는 답변은 경상권(13.2%)에서, 여학생(9.2%)보다 남학생(13.8%)이 더 많았고 정치안정은 강원권(16.4%)에서, 남학생(6.7%)보다 여학생(11.7%)이, 예체능계열(14.9%)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정확히 10년 전 당시 대학생들의 생각은 어땠을까. 2006년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사회 문제로 응답자 29.1%가 경제성장을 꼽아 가장 많았다. 빈부격차 해소가 26.1%로 그 뒤를 이었고 부정부패 척결이 12.2%, 정치안정이 11.3%로 지금과는 다른 양상이다. 경제성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당시에는 가장 우선했다.

◇신뢰하는 집단 = 대학생이 사회에서 가장 신뢰하는 집단으로 대학생 자신을 꼽았다. 응답자 16.1%가 대학생을 가장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10.7%는 교수(교사)에게 그 다음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시민단체가 10.4%, 의사가 8.3%, 농민이 7.7%로 그 뒤를 따랐다.

대학생을 가장 신뢰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권역별로 전라·제주권(16.8%)과 수도권(16.5%)에서 가장 많았고 남학생(13.9%)보다 여학생(17.3%)이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도는 남학생(8.8%)보다 여학생(11.3%)이 더 높게 평가했으며,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권역별로 전라·제주권(10.2%)에서, 농민은 강원권(10.9%)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10년 전인 2006년 당시 대학생들은 가장 신뢰하는 집단으로 시민단체를 꼽았다. 17.2%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감을 표했으며 대학생이 10.2%, 농민이 10.0%로 그 뒤를 이었다. 10년 만에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도가 7%포인트 가까이 떨어지고 대신 대학생 그룹에 대한 신뢰는 더 높아졌다.

◇불신하는 집단 = 사회에서 불신이 특히 가중되는 집단이 있다. 물고 뜯고 정신없는 전쟁터라고는 하지만 전혀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진보라서 그렇고 보수라서 그렇고 정부 여당이라 그렇고 야당이라 그렇고. 이 같은 벽과 울타리를 넘어 사사로운 이해관계를 딛고 서서 우리 사회, 전체 국민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한걸음 더 나아갈 수는 없을까. 문제를 덮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에서 보면 정치인의 이 같은 모습은 필연일 수밖에 없는 듯하다.

올해 대학생들이 사회에서 가장 불신하는 집단으로 첫손에 꼽은 것은 단연 정치인이다. 응답자 31.7%가 정치인을 가장 불신한다고 답했다. 언론인이 18.8%로 그 뒤를 이었으며 법조인(15.2%), 사업가(14.5%) 순으로 불신이 컸다.

언론인을 불신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권역별로 강원권(23.0%)에서, 계열별로 예체능계열(24.1%)에서 가장 많았고 법조인에 대한 불신은 전라·제주권(16.6%)에서, 남학생(12.6%)보다 여학생(16.5%)이, 예체능계열(19.2%)에서 상대적으로 더 컸다.

10년 전 대학생들이 가장 불신하는 집단도 정치인이었을까. 그렇다. 당시 응답자 27.0%가 정치인을 가장 불신한다고 답했다. 올해 정치인에 대한 불신 수준은 10년 전보다 4%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이어 사업가(16.4%), 법조인(12.1%), 언론인(11.3%) 순으로 불신감이 높았다. 특히 언론인에 대한 불신은 10년 만에 4위에서 2위로 올라섰고 수치도 당시보다 7.4%포인트 이상 높아지는 등 불신감이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근혜정부 국정운영 = 대학생들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해 10명 중 7명꼴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71.9%가 ‘부정적’이라고 답했으며 ‘긍정적’이라는 의견은 3.6%에 불과했다. 16.0%가 ‘보통’으로 평가했으며 ‘잘 모르겠다’는 답변은 8.5%였다.

이 같은 반응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첫해와 뚜렷이 다른 양상이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3년과 비교하면 당시에는 ‘부정적’이라는 답변이 33.1%였고 ‘긍정적’이라는 반응은 23.9%로 부정적인 시각이 우세했지만 긍정적 반응도 적지 않아 임기 초 기대감이 반영됐다. 응답자 43.0%는 당시 ‘보통’이라고 평가했다. 남은 임기를 1년여 앞둔 현 시점에서 정부 국정운영 평가는 임기 첫해보다 부정적 시각이 2.2배 더 많아졌고 긍정적 반응은 6분의 1 내지 7분의 1로 감소했다.

올해 정부의 국정운영에 부정적인 평가를 한 응답자는 전라·제주권(76.6%)과 수도권(72.1%)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았고 남학생(66.7%)보다 여학생(74.9%)이, 저학년(1학년 69.9%, 2학년 68.6%)보다 고학년(3학년 70.8%, 4학년 75.0%)에서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긍정적인 의견은 경상권(4.1%)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여학생(2.4%)보다 남학생(5.7%)이 더 호의적으로 평가했다.

◇지지하는 정당 = 지지하는 정당을 묻는 질문에 대학생 28.6%가 더불어민주당을 선택해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국민의당이 17.6%로 그 뒤를 이었다. 더불어민주당과의 격차는 11%포인트가량이다.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자는 11.1%로 3당 중 가장 낮은 지지율을 나타냈다.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밝힌 응답자는 권역별로 전라·제주권(35.5%)에서 가장 많았으며 계열별로는 인문사회계열(29.6%)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에 이어 정당별 지지도 2위에 오른 국민의당은 전라·제주권(23.4%)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나타냈고 여학생(16.5%)보다 남학생(19.9%)이, 계열별로 예체능계열(25.3%)에서 상대적으로 지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경상권(13.9%)에서 가장 많았고 여학생(8.2%)보다 남학생(16.4%)이, 자연공학계열(13.5%)에서 상대적으로 지지율이 더 높았다.

한편 그 밖의 기타의견이 42.7%로 이들 3당 중 어느 당도 지지하지 않거나 아예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경우 또 답하고 싶지 않은 응답자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 

◇개선이 필요한 정부정책 = 올해 박근혜 정부에서 가장 개선이 필요한 정책으로 대학생들은 경제정책(부동산, 물가 등)을 꼽았다. 응답자 10명 중 4명꼴(41.2%)로 경제정책 개선이필요하다고 봤다. 복지정책(의료, 보건 등)과 산업정책(친기업, 공기업 민영화 등)을 지적한 응답자가 각각 10.7%로 경제정책 다음으로 많았다. 외교정책(대미, 대일 등)이 10.5%로 그 뒤를 이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첫해인 2013년 당시에도 대학생들은 가장 개선이 요구되는 정부정책으로 경제정책(34.1%)을 첫손에 꼽았다. 4년 차에 접어든 현재와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경제정책에 이어서는 인사정책(17.8%)과 교육정책(14.3%)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목소리가 더 많았으며 산업정책(13.0%)이 그 뒤를 잇는 등 지금과는 사뭇 달랐다. 과거에 비해 외교정책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것은 현재 사드와 위안부 문제로 정부가 미국과 중국, 일본에 각각 취하고 있는 외교노선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가장 개선이 필요한 정책으로 경제정책을 꼽은 응답자는 충청권(44.9%)에서, 자연공학계열(44.8%)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복지정책에 대해서는 전라·제주권(13.5%)에서 의견이 많았고 남학생(6.9%)보다 여학생(12.7%)이 더 높게 나타났다. 산업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은 경상권(13.9%)에서 많았다.

외교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 응답자는 전라·제주권(11.4%)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남학생(8.3%)보다 여학생(11.7%)이, 예체능계열(17.2%)에서, 저학년(1학년 9.0%, 2학년 9.5%)보다 고학년(3학년 11.6%, 4학년 10.7%)에서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상품브랜드 선호도 및 의식 조사 어떻게 했나
◇정치 성향 = 대학생들은 스스로를 ‘중도’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이념이나 정치적 입장이 ‘보수’인지 ‘진보’인지를 묻는 질문에 절반에 가까운 47.4%가 ‘중도’라고 답했다. 23.8%가 답한 ‘진보’가 그 다음으로 많았고 ‘보수’라는 응답자는 8.9%에 그쳐 가장 적었다. ‘잘 모르겠다’는 답변도 19.9%였다.

3년 전인 2013년과 비교해보면 당시에도 ‘중도’라는 답변이 43.4%로 가장 많았다.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경우는 23.0%에 달했다. 21.2%가 ‘진보’라고 답한 데 반해 ‘보수’라는 응답은 12.4%였다. 중도층이 당시보다 다소간 줄면서 현재 대학생들의 성향은 진보가 2.65%포인트 늘고 보수가 3.5%포인트 줄었다.

◇박근혜정부의 청년정책 = 대학생들은 박근혜 정부가 진행하는 청년정책에 대해 10명 중 7명 이상이 실효성이 없다고 평가했다. 취업을 포함한 청년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고 있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 75.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응답은 2.2%에 머물렀다. 11.9%는 ‘보통’이라고 평가했으며 10.2%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2016 대학생 기업이미지상품브랜드 선호도 및 의식 조사 어떻게 했나 

- 기  간 : 2016820~910
- 대  상 : 한국대학신문 대학생 평가단 포함 전국 대학생 1396
- 방  법 : 온라인 및 이메일
- 도  구 : PC 663, 스마트폰 733
- 응답자 특성
지역 수도권 700, 강원권 55, 충청권 205, 경상권 295, 전라제주권 141
전공 인문사회 836, 자연공학 473, 예체능 87
학년 1학년 156, 2학년 264, 3학년 397, 4학년 579
성별 남학생 493, 여학생 903
- 분석프로그램 : SPSS WIN 20.0
- 신뢰 수준 : 95%, 최대 오차 ±2.7%포인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